공기업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최근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기업 절반은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 학벌을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337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8.1%가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고 17일 밝혔다. 다른 자격 조건이 모자라도 학벌이 우수해 채용한 직원이 있다고 밝힌 곳도 21.0%나 됐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51.9%(복수 응답)가 '지원자가 노력한 성과여서'라고 답했다.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43.2%), '객관성이 있는 조건이어서'(37.7%),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1.7%),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9.3%)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원자 출신 학교는 '인 서울' 대학이었다. 응답 기업 45.7%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지방거점국립대학 출신 지원자를 선호한다는 곳은 24.1%에 그쳤다.
그러나 학벌이 실무역량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는 곳은 많지 않았다. 응답 기업 59.3%가 '학벌과 업무 능력 간 상관관계가 없다'고 답했고, 24.6%만이 '학벌이 좋으면 업무능력도 뛰어나다'고 답했다. 입사 뒤에는 학벌을 상세히 파악하지 않는다는 곳도 16.0%에 달했다.
대구 한 자동차부품업체 인사담당자는 "대구 4년제 대학 출신 지원자가 많은데 이 중에서도 출신 대학을 참고한다. 학력을 성실함의 척도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공기업처럼 필기시험, 인적성 검사 등 채용절차가 많지 않아 학력 외에 다른 평가 요소가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