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시민사회의 거센 반대에 잠정 보류했던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을 내년부터 재개할 전망이다. 케이블카 업체와의 개발이익 환수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고, 실시설계 작업도 일부 재개되면서 내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사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된 것.
대구시는 "팔공산 민영 케이블카 업체와 수익 환원 및 추가 시설투자 등을 놓고 지난해부터 벌여온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르면 10월, 늦어도 올해 안에 협상을 마무리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실시설계를 일부 재개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 단계에 돌입했다.
애초 시는 구름다리의 시작점이 팔공케이블카의 종착지라는 점에서 민간 케이블카 업체와 개발이익 환수 협의를 벌여왔다. 2017년 30억원 수준이었던 케이블카 매출이 구름다리 조성 이후 45억원으로 급등할 것으로 추정됐고, 이후 5년간 매년 5%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자세한 비율은 밝힐 수 없지만, 다른 지역 케이블카 업체에 비해 훨씬 큰 비율을 사회공헌기금 등으로 내놓기로 했다"면서 "시설 개선이나 환경 보존 등 어떤 방향으로 해당 기금을 사용할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케이블카 업체와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본격적인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문화재 현상변경과 경제성평가 등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쯤 착공에 들어갈 방침이다. 또 팔공케이블카 측은 케이블카 차량 전체를 바꾸는 등 시설 개선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최근 환경부의 부동의로 무산된 설악산 국립공원 오색케이블카 사업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설악산과 달리 국립공원이 아닌데다 규모도 소규모여서 환경부를 거치는 절차가 없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5천㎡ 이상을 점용하는 시설이 환경영향평가 대상인데, 구름다리는 공사 도중 1천688㎡, 영구적으로는 459㎡만 점용할 것으로 보여 애초 대상이 아니다"며 "다만 시민사회의 우려를 감안해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받아 환경훼손은 제한적이라는 결과를 받았다"고 했다.
환경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에서는 여전히 구름다리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은 "대구시는 말로만 '시민단체의 의견도 듣겠다'면서 한 번도 제대로 된 대화를 요청한 적이 없다. 계속해서 반대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팔공산 구름다리=대구시는 2017년 1월부터 팔공산에 320m 규모의 국내에서 가장 긴 구름다리를 놓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140억원의 예산을 들여 팔공케이블카 정상에서 동봉 방향 낙타봉까지 구름다리를 만들겠다는 것. 그러나 발표 이후 환경단체의 반대가 이어지자 시는 지난 5월 시민원탁회의를 열어 '찬성 60.7%'라는 결과를 받아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