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산단 50년, 입주 1호 KEC· 2호 코오롱 운명은?

사업 부진으로 구조고도화사업 추진하는 ㈜KEC, 수퍼 섬유 제조공정 국산화 등 약진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

구미산단 내 코오롱인더스트리㈜를 찾은 성윤모(앞줄 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장세용(왼쪽) 구미시장이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폴리이미드 소재 등을 살펴 보고 있다. 구미시 제공
구미산단 내 코오롱인더스트리㈜를 찾은 성윤모(앞줄 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장세용(왼쪽) 구미시장이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폴리이미드 소재 등을 살펴 보고 있다. 구미시 제공
금속노조 구미지부 KEC지회 노조원들이 18일 구미공단 조성 50주년 기념식이 열린 구미코에서 KEC의 구조고도화사업을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독자 제공
금속노조 구미지부 KEC지회 노조원들이 18일 구미공단 조성 50주년 기념식이 열린 구미코에서 KEC의 구조고도화사업을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독자 제공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된 지 반세기가 지난 가운데 입주 1·2호 기업인 ㈜KEC(한국전자)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1969년 9월 설립된 KEC와 1970년 3월 공장을 착공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첫 입주기업으로 구미산단 50년 역사와 궤를 함께하며 지금도 구미산단을 지키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산업소재, 필름·전자재료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선제적 투자로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폴리이미드 소재 및 제조공정의 국산화 등으로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관심을 끌며 글로벌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18일 구미공단 50주년 기념식 참석 차 구미를 방문한 성윤모 산자부 장관은 이 기업을 찾아 폴리이미드 소재 및 제조공정 국산화를 이끈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성 장관은 "임직원들의 의지와 노력은 일본 수출규제 조치를 극복하는 모범 사례"라고 칭찬했다.

하지만 비메모리 반도체 생산업체인 KEC는 상황이 다르다.

사업 부진으로 공장 유휴부지가 늘면서 공장 부지(33만여 ㎡)의 절반 정도인 17만여 ㎡에 대해 쇼핑몰·복합터미널 등의 용도로 전환하는 구조고도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내부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같은 날 구미산단 조성 50주년 기념식이 열린 구미코에는 금속노조 구미지부 KEC지회 노조원들이 찾아와 KEC의 구조고도화사업을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했다.

3개 노조를 가진 회사 구성원들조차 이같은 추진에 대해 찬반으로 나눠지는 등 갈등의 골이 깊다. KEC 노조는 임직원 650여 명 중 한국노총 260여 명, 민주노총 100여 명, 기업노조원 20여 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노총 KEC노조는 "사측의 구조고도화사업이 회사와 근로자가 상생하는 길"이라고 환영하는 반면 금속노조 KEC지회는 "구조고도화사업은 회사를 폐업하기 위한 수순으로 구미산단 공동화는 물론 시민의 삶을 악화시키게 될 것이다"고 반대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