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크라이나 의혹', 美 대선정국 한복판서 새로운 뇌관 부상

민주, 트럼프 탄핵론 재점화 공세…'제2의 러시아 스캔들' 가능성도
트럼프 역공 '국면전환 시도' 속 바이든에게도 '양날의 칼' 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을 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가 인도계 이민자 사회를 격려하기 위해 22일(현지시간) 텍사스주 휴스턴 NRG 스타디움에서 개최한 집회에 참석, 모디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을 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가 인도계 이민자 사회를 격려하기 위해 22일(현지시간) 텍사스주 휴스턴 NRG 스타디움에서 개최한 집회에 참석, 모디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전화 통화에서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와 관련된 '조사 외압'을 행사했다는 이른바 '우크라이나 의혹'이 미 대선정국의 새로운 뇌관으로 부상했다.

사실로 드러날 경우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의혹' 사건처럼 다른 나라 정상이 연루된 제2의 스캔들로 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으로 전개 방향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전 부통령 가운데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치명적 내상을 입을 수 있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우크라이나 의혹'은 미 언론들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25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과 아들 헌터에 대해 조사할 것을 압박했다고 보도하면서 수면 위로 불거졌다. 정보당국 출신 '내부 고발자'의 고발이 도화선이 됐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 원조 중단 카드를 무기로 활용해 우크라이나 측을 압박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바이든 전 부통령 관련 의혹은 그가 2016년 초 우크라이나 측에 검찰총장을 해임하지 않으면 10억 달러에 이르는 미국의 대출 보증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우크라이나 검찰총장은 아들인 헌터 바이든이 관여하던 현지 에너지 회사의 소유주를 '수사 레이더망'에 올려놨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총장은 결국 해임됐다.

민주당은 "엄청난 권력 남용"이라며 강력 반발, 민주당이 장악한 하원 차원의 조사를 벼르며 탄핵 카드를 다시 만지작거리고 있다. 당초 탄핵론에 선을 그어온 민주당 소속 애덤 시프 하원 정보위원장도 22일 CNN방송 인터뷰에서 탄핵이 유일한 해결책일 수 있다고 강경론 쪽으로 선회하는 흐름을 보였다.

미국 하원 일인자인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 하원의장은 '바이든 부자 관련 조사 외압' 의혹과 관련, 내부고발자의 관련 정보 공개를 행정부가 계속 막는다면 '심각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문제의 통화와 관련, 22일(현지시간) "부적절한 대화는 없었다"며 "바이든 전 부통령이나 그의 아들과 같이 우리 국민이 우크라이나에 부패를 만들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었다"고 말해 차단막을 치며 오히려 바이든 부자 관련 의혹 자체에 대한 부각을 시도, 국면 전환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의 문제가 이번 사안의 본질이라며 시선 돌리기를 시도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상대로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 의혹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게 사실로 드러난다면 대선 국면에서 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이든 전 부통령 입장에서도 자신과 아들과 관련된 의혹이 재점화된 것이 껄끄러운 상황이다.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대선 가도에서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된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