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정국' 속 장외투쟁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는 자유한국당이지만 총선이 다가옴에 따라 공천 기조와 관련한 각종 설득력 있는 주장이 감지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기류가 '대대적인 물갈이론'이다. 한국당과 황교안 대표가 총선에서 승리하고 수권 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물갈이를 통한 지지율 제고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17대 총선 이래 여야 관계없이 물갈이를 많이 한 정당이 승리했다. 초선 비율 68.2%를 달성한 노무현 정부 시절 열린우리당이 151석을 차지했고, 이명박 정부(초선비율 46.6%)와 박근혜 정부(초선비율 42.5%)의 한나라당과 새누리당이 각각 153석, 152석을 쓸어갔다.
이 때문에 현재 열세에 놓여 있는 한국당으로서는 '물갈이 공천'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황 대표는 최근 당무감사위원 전원을 교체하고, 이르면 다음 달부터 당무감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당무감사위원회는 당 대표 직속 기구다. 총선을 7개월가량 앞두고 새 대표 체제에서 실시되는 당무감사는 공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대폭 물갈이를 예고하고 있는 형국도 한국당의 물갈이를 압박하는 외부 요인으로 꼽힌다.
여권 내에서는 내각과 청와대에 포진한 유력 인사가 줄줄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있고, 일부 민주당 중진 의원들도 불출마 대열에 합류하면서 물갈이 폭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의 물갈이 작업을 지켜보는 한국당으로서는 참신한 이미지를 얻고자 경쟁을 벌이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이다.
한편 한국당의 물갈이 작업은 이번에도 역시 대구경북 등 텃밭을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들이 많다.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도권 후보들을 쳐낼 경우 경쟁력이 떨어지는 후보가 공천돼 당선권에서 멀어질 것이라는 현실적인 분석이 한 몫하고 있다.
벌써부터 경북 경산과 고령성주칠곡 등에는 친박 색채가 없는 인사들로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역 의원이 의원직 상실을 받은 두 곳 모두 친박계여서 이번 기회에 중앙당과 지도부의 참신성을 부각하기 위해 친박 인사를 배제해 전략공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