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확산 기미 보이는 '돼지열병' 철저한 방역과 경계 급하다

지난 18일 이후 발병 소식이 끊겼던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다시 확산하고 있어 엄중 경계가 요구된다. 23일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의 한 양돈농장에서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돼지 전염병이 번지는 분위기다. 아직은 발병 지역이 중점관리지역(6개 시·군) 안에 있지만 언제 어디서 추가로 확진 판정이 나올지 모른다는 점에서 대응 태세가 급해졌다.

파주시에서 17일 국내 처음 확진된 돼지열병은 18일 연천군 사례 이후 5일간 더 이상의 확진은 없었다. 하지만 23일 김포에 이어 24일 파주시 양돈농장에서 또다시 발병하면서 네 번째 확진 사례가 나왔다. 발병 지역이 아직은 경기도에 국한돼 있으나 전국적인 확산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돼지열병이 잠복기를 거치면서 본격적으로 확산 시점에 이른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염려스러운 것은 김포시 사례에서 보듯 채혈 정밀조사 결과 '음성' 판정이 나왔지만 3일 만에 확진으로 판정이 번복된 점이다. 방역 당국은 "농가의 돼지를 전수조사하지 않고 샘플만 조사하다보니 감염 사례를 미처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 또 잠복기 초기에는 검사를 해도 음성 반응이 나올 수 있는 점도 변수다. 이런 허점을 보완하지 않으면 돼지열병 확산을 막을 수 없다는 점에서 보다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앞서 올해 봄부터 돼지열병이 크게 휩쓴 북한의 경우 "평안북도 돼지가 전멸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게 국정원의 보고다. 국내에서도 경계의 고삐를 바짝 당겨야 할 때다. 이낙연 총리가 24일 국무회의에서 "부실한 방역보다는 과잉 방역이 더 낫다"며 철저한 방역을 당부한 것도 돼지열병의 위험성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이다.

대구경북 각 지자체와 양돈농가도 사람과 가축, 차량이 접근하지 못하게 철저히 통제해 바이러스 유입을 막아야 한다. 의심 증상이 생기면 빨리 당국에 신고해 전수조사를 벌이고, 긴급 소독 등 총력전으로 나서는 것만이 피해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