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곽대훈, 한전공대 설립운영 막는 법 발의…"지방대 살리기 위한 조치"

'지역 갈등 조장' 반발에 "인구감소에 대학 늘리는 것 용인 못해"

곽대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곽대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곽대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대구 달서갑)이 지난 17일 122조원의 빚을 지고 있는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전남 나주혁신도시에 건립을 추진 중인 한국전력공과대학(한전공대)의 설립·운영을 막는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데 대해 '지역갈등 조장' 공격을 받자 입을 뗐다.

곽 의원을 향해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정과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해 지역갈등을 부추기려는 불순한 의도"라고 비판했고 이용섭 광주시장도 "광주·전남 시도민의 염원을 외면하고 지역갈등을 조장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에 곽 의원은 "지역갈등 조장이 아니라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한전공대는 막아야 할 일"이라고 확고한 의지를 표명했다.

곽 의원은 25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국에 수많은 공과대학과 에너지 관련 학과가 있고, 지금도 많은 학생이 세계 일류가 되고자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며 "일반대학으로는 부족해 전국적으로 GIST(광주), KAIST(대전), 포스텍(포항), DGIST(대구), UNIST(울산) 등 이공계 특성화 대학을 만들었고 에너지 관련 학과를 통해 훌륭한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그런데 에너지특화대학을 또 만들겠다는 것은 GIST나 DGIST를 죽이겠다는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곽 의원은 "저출산으로 학생과 대학입시생 급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유은혜 부총리도 '정부 주도 대학입학정원 감축보다 인구감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사실상 정부정책으로 대응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것을 자인음에도 대학을 늘리겠다는 것은 용인할 수 없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한전공대는 설립과 운영에 올해부터 2031년까지 1조6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1조원의 비용을 내야하는 한전이 최근 탈원전 등으로 경영난에 빠져 올해 상반기에만 9천200억원의 영업 손실을 내고 총 부채액만 122조원에 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