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변동·준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저금리 장기·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안심대출) 신청이 정부 공급금액 3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신청요건인 주택가격 상한선이 사실상 무의미해진 가운데 안심대출 혜택이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비수도권에 집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안심대출 신청금액은 지난 22일 공급한도인 20조원을 넘었다. 26일 오후 4시쯤에는 신청금액이 5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공급한도의 2.5배로, 마감기한인 29일 자정에는 공급규모 3배에 달하는 신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인기는 1%대의 낮은 금리로 장기간(10·20·30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조건 때문이다. 온라인 신청 시 연 1.75~2.10% 금리가 적용된다. 1인당 평균 대환 신청액 약 1억2천만원을 기준으로 매월 이자는 17만5천~21만원에 불과하다.
금융위는 안심대출 신청요건 중 주택가격을 최고 9억원으로 정하고, 집값 낮은 순서대로 대출을 승인하겠다고 했다. 9억원짜리 주택에 사는 사람을 '서민'으로 볼 수 있느냐를 두고 논란도 있었지만 9억원이란 상한선은 무의미해졌다. 신청자가 너무 많아 기존 보금자리론 상한선인 6억원보다 커트라인이 낮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결국 금융위의 수요 예측이 빗나간 셈이다.
신청자가 몰리면서 안심대출의 저금리 혜택이 비수도권에 집중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번 안심대출은 2015년에 나온 기존 안심전환대출과는 달리 신청자격에 소득 기준(부부 합산 연 8천500만원 이하)과 보유 주택 수(1주택자) 등의 기준이 붙었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은 대출 대상으로 선정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현재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금액이면 비수도권에서 몇 채를 살 수 있을 만큼 가격이 벌어져 있다. KB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서울의 전체 주택 중위 매매가격(중간 가격)은 6억4천710만원이다. 이는 6개 광역시의 전체 주택 중위 매매가격(2억1천571만원)의 3배이고, 수도권·광역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중위 가격(1억5천251만원) 4배 수준이다.
금융위는 신청자들의 소득·주택가격 분포와 예상 커트라인 등을 분석해 30일 발표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