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외래식물 확산 방지 체계적인 대책 세워라

지구온난화로 국내 기후 환경이 변한데다 교역 물품의 다종화와 해외여행의 증가 등으로 외래 동·식물의 유입 경로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문제는 이런 외래종들이 국내 동·식물의 생태계를 교란하고 국민의 삶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도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생태계 교란 악성 외래종을 관리하고 있다.

우리 식물 생태계의 '황소개구리'로 불리는 '가시박' 또한 그 예외가 아니다. 북미 원산지로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인 가시박은 1980년대 후반 오이·호박과의 접목용으로 국내에 반입되었다. 봄에 싹을 틔워 8월 무렵이면 주변의 모든 식물을 타고 올라가 잎과 가지를 뒤덮어 고사시켜 버린다. 2009년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까닭이다.

가시박이란 이름 또한 박 종류로 열매에 가시가 있어서 붙었다. 번식력도 무시무시하다. 8~10월 개화하는 씨앗주머니에는 많게는 2만5천 개의 씨앗이 들어 있어 특히 하천변을 떠다니며 급속히 확산된다. 토양이 촉촉하고 약간 부영양화된 서식처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상당한 인력과 예산을 투입해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왕성한 번식력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한다. 올해도 이미 퇴치 골든타임을 다 넘겨버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의례적인 수준의 제거 작업은 소용이 없다"고 한다. 씨가 생기기 전인 8월 이전에 관계기관이 동시다발적으로 퇴치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인건비 싸움이고 전문성도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시기를 놓치면 안 된다.

대구의 경우 달성과 안심습지, 금호강 일대 등 식생 보존이 중요한 거점일수록 적극적인 퇴치가 필요하다. 특히 꽃이 피기 전에 작업을 마치는 것이 관건이다. 당국이 보다 체계적인 관리감독과 효율적인 퇴치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이유이다. 아울러 생태계 교란종과 위해 우려종 생물 지정을 확대하는 한편, 외래종의 무단 반입과 방사에 대한 사전·사후 관리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