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금령총서 '현존 최대' 56cm 말 모양 토기 출토

높이 56㎝…현존하는 말모양 토기 중 가장 큰 규모

경북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말모양 토기.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경북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말모양 토기.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현존하는 말모양 토기 규모를 압도하는 최대 크기의 말모양 토기가 신라 적석목곽묘(돌무지덜넛무덤)인 경북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됐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올해 금령총 2차 발굴조사를 통해 무덤 둘레에 쌓는 돌인 호석(護石) 바깥쪽에서 높이가 56㎝에 이르는 신라시대 말모양 토기를 찾아냈다고 30일 밝혔다.

말모양 토기는 머리와 앞다리 쪽만 발견된 상태다. 등과 배 부분은 깔끔하게 절단된 듯한 흔적이 있어 고의로 깨뜨려 무덤에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금령총은 일제강점기 조사에서 신라 토기 중 백미로 꼽히는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토기(1924년 출토)가 나온 무덤이다. 기마인물형 토기 두 점은 높이가 25㎝ 안팎이다.

말모양 토기의 제작기법은 기마인물형토기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모습을 비롯해 얼굴·목·발굽 등 각 부분을 정밀하게 표현했고, 신체 비율도 실제 말과 흡사하게 제작된 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국립경주박물관 측은 설명했다.

금령총은 일제강점기였던 1924년 처음으로 발굴조사가 이뤄졌으나 일부 훼손된 봉토와 적석부를 걷어내고 매장주체부만 조사했던 탓에 호석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호석 외부에서는 제사용 토기 30여 개체가 나왔고, 주변에선 말모양 토기 외에도 말과 소 같은 포유류 뼈와 조개류, 뚜껑 있는 접시인 개배(蓋杯), 토제 방울, 유리구슬, 쇠스랑이 발견됐다.

지난 4월부터 진행된 2차 발굴조사에서는 지난해 1차 조사에서 확인한 호석의 전모를 밝히는데 집중해 기존에 지하식 적석목곽묘로 알려진 금령총의 구조가 지상식이란 점을 확인했다. 무덤의 규모도 기존에 알려진 크기보다 직경은 8m 가량이 더 큰 28m 내외로 추정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 같은 금령총 2차 재발굴조사 성과를 오는 8일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경주박물관 관계자는 "내년 3차 조사에서 매장주체부까지 확인하면 금령총의 전체 구조와 축조기법이 명확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북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말모양 토기 부분.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경북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말모양 토기 부분.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