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신형 SLBM '북극성-3형' 발사성공…자위력 강화 새 국면"

北 "고각발사 방식"…정상각도 발사시 사거리 2천km 상회 전망
북극성 1,2형보다 기술 향상된듯…김정은 이례적 불참, 美압박하되 수위 조절

북한이 지난 2일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을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일 전했다. 북한이 지난 2017년 그 존재를 공개한 '북극성-3형'을 실제 시험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비핵화 협상 재개 국면에서 신형무기 공개를 통해 방위력을 과시하고 미국을 압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중앙통신은 이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은 2019년 10월 2일 오전 조선 동해 원산만 수역에서 새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통신은 "새형의 탄도탄 시험발사는 고각발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또 "이번에 진행한 새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의 성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외부세력의 위협을 억제하고 나라의 자위적 군사력을 더한층 강화하는데서 새로운 국면을 개척한 중대한 성과"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전날 오전 7시11분께 강원도 원산 북동쪽 17km 해상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의 최대 비행고도는 910여km, 거리는 약 450km로 탐지됐다. 북한이 고각발사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직접 공개함에 따라 정상 각도 발사시 사거리는 2천km를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북극성-3형은 북한이 2016년 8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기존 SLBM인 '북극성-1형'과 2017년 2월 이를 지상발사용으로 개조해 발사한 '북극성-2형' 보다 사거리 등 기술력이 한층 향상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이날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TV 등을 통해 북극성-3형 발사 모습이 담긴 사진들을 공개했는데, 원통형의 미사일이 수중에서 발사되는 모습이 여러 장 공개됐다. 이중 한 사진에는 미사일 발사 위치 바로 옆에 선박이 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수중발사대가 설치된 바지선을 끌고 온 견인선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북한이 기존 신포급(2천t급) 잠수함이나 지난 7월 공개된 신형 잠수함이 아닌 수중발사대에서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선임 분석관은 "전략 목표 타격을 위해 북극성-3형 SLBM은 사거리 3천∼5천km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 발사 현장에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오는 4~5일 시작될 미국과의 예비접촉 및 실무협상 등 비핵화 대화가 중요 국면에 있는 점을 고려해 대미 자극 수위를 조절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영국 BBC는 동아시아 지역 안보가 '심각한 순간'을 맞이했다고 3일(현지 시간) 평가했다. BBC는 "만약 미사일이 수직 궤도가 아닌 표준 궤도에 따라 발사됐다면 1천900km(1천200마일) 정도를 날아갔을 것"이라며 "(미사일의 사정권에) 한국과 일본 전역이 들어가는 셈"이라고 전했다.

또 BBC는 북극성-3형 미사일이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탄도미사일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며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지상에서 발사하는 것보다) 탐지를 더 어렵게 하고 다른 목표물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김지석 선임기자·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