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법무는 트럼프 개인변호사?…'딥스테이트' 음모론 조사 논란

"러시아 스캔들은 前정권 조작" 의혹 밝힌다며 이탈리아 방문
사법부 정치중립 전통 깨지나…美정국위기 불똥 동맹국으로 튀어

윌리엄 바 미국 법무장관이 '러시아 스캔들'을 전 정권이 조작했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음모론을 입증하겠다며 관련 조사를 진두지휘해 정치적 중립 위반 논란이 일고 있다.

러시아 스캔들은 2016년 미 대선에 러시아 정부가 해킹과 여론조작 등 수법으로 개입한 사건이다. 하지만, 트럼프 진영은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와 중앙정보국(CIA), 연방수사국(FBI) 등 연방정부 내 기득권 세력(딥스테이트·deep state)이 주요 동맹국과 결탁해 러시아 스캔들을 꾸며냈다고 주장해 왔다.

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바 법무장관은 지난 8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이탈리아를 방문해 이탈리아 정보당국 수장과 비공개 회동을 했다. 바 장관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 스캔들 수사가 시작된 경위를 조사하는 미 법무부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탈리아는 2016년 대선에서 트럼프 캠프의 외교 정책 고문이었던 조지 파파도풀로스가 로마 모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던 말타인 미프수드로부터 "러시아가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대선후보에게 흠집이 될 만한 이메일 수천통을 갖고 있다"는 정보를 들은 장소다. 이후 러시아 스캔들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자 미프수드는 종적을 감췄다. 로버트 뮬러 특검은 그가 러시아 정보기관의 메시지 전달 요원(cutout)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트럼프 지지자들은 미프수드가 트럼프 캠프를 염탐하기 위해 오바마 정부가 파견한 CIA 요원이라고 주장한다. 파파도풀로스 본인은 지난달 27일 트위터에 "미프수드는 CIA의 조종을 받는 이탈리아 정보원이었다"는 글을 올렸다. 이날은 바 장관이 이탈리아 정보당국과 접촉하기 위해 로마에 머물고 있던 때였다.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바 장관은 이밖에 영국과 호주 당국자들과도 직접 접촉해 관련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사법부나 정보기관의 권력 남용 여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독립적으로 진행돼야 할 조사에 일일이 관여함으로써 선거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사법부의 전통을 위협하고 있다고 NYT는 지적했다.

트럼프 진영이 내년 대선을 염두에 두고 민주당 진영을 겨냥한 공세를 펼치는 것으로 관측되지만, 일각에선 이런 행태가 주요 동맹국과의 관계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