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턱없이 부족한 국비 지원에 수소충전소 구축 부진, 난감한 지자체들

7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감에서 강길부 의원 지적, "정부 구축·운영비 지원 확대 절실"
국비 최대 15억원에 시비 15억원 더해도 승용차용 시설밖에 못 만들어

수소충전소 이미지.
수소충전소 이미지.

전국 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7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은 국비 지원 부족으로 충전소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일 산자부 에너지분야 국정감사에서 강길부 무소속 의원은 국내 수소충전소 설립이 부진하다고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일본이 수소충전소 보급에 앞설 수 있었던 것은 설치용량이나 수소 공급방식에 따라 보조금을 세분화해 지원하고, 운영보조금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당초 정부는 31곳인 수소충전소를 연말까지 모두 86곳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10~20곳이 추가되는데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사업비의 50%, 최대 15억원을 지원하는 정부의 수소충전소 설치 지원이 실제로 충전소 구축 및 운영을 하기에 많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비 15억원과 시비 15억원을 합쳐도 30억원인데 승용차 전용 충전소 시설비용만 30억원"이라며 "버스까지 충전하려면 60억원이 들고 부지 매입 비용까지 더하면 현실적으로 구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충전소 구축이 완료되더라도 운영비도 발목을 잡는다. 관련 업계에서는 충전소의 인건비를 제외하고도 유지보수비 등 각종 운영비가 연간 1억5천만원에서 2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구시는 올해 달서구 이곡동 성서산단 인근에 대구시 1호 수소충전소 구축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북구 관음동, 달성군 다사읍, 동구 동호동까지 모두 4곳에 수소충전소를 마련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수소충전소 운영비 1억원을 최초 5년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