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노벨상 첫 타자 '생리의학상' 美 2명, 英 1명 공동수상

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노벨위원회 기자회견에서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그레그 서멘자(미국·왼쪽부터)와 피터 랫클리프(영국), 윌리엄 케일린(미국) 등 3명의 모습이 스크린에 나란히 비치고 있다. 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노벨위원회 기자회견에서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그레그 서멘자(미국·왼쪽부터)와 피터 랫클리프(영국), 윌리엄 케일린(미국) 등 3명의 모습이 스크린에 나란히 비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2019년 제119회 노벨상 첫 수상자가 7일 나왔다.

생리의학상이다. 모두 3명이 수상했다.

미국의 윌리엄 케일린(하버드의대)과 그레그 서멘자(존스홉킨스의대), 영국의 피터 랫클리프(옥스퍼드대)이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적응 기전에 관한 연구 공로를 인정, 이들 3명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이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입증, 암과 빈혈 등 혈중 산소농도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법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세포의 저산소 농도 적응 과정에서 'HIF-1'이라는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게 핵심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