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출부진에 8월 상품수지 흑자폭 5년7개월 만에 최소

경상수지 흑자 53억달러…서비스수지 개선에도 흑자폭 줄어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4년만에 첫 감소…경기둔화 우려 탓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반도체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부진이 겹치며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5년 7개월 만에 최소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반도체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부진이 겹치며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5년 7개월 만에 최소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글로벌 제조업 경기 위축, 반도체 등 주력 수출품목 부진이 겹치며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5년 7개월 만에 최소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경상수지는 52억7천만달러 흑자를 냈으나 지난해 같은 달 85억5천만달러보다 줄었다. 특히 상품수지는 47억7천만달러 흑자로 2014년 1월 36억7천만달러 흑자 이후 5년 7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반도체, 석유류 단가 하락에 수출(451억5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15.6% 줄어든 탓이다. 수입(403억9천만달러)은 5.1%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18억달러 적자로, 적자 폭은 1년 전 20억4천만달러보다 줄어들었다. 일본 여행은 급감했는데 한국을 여행하는 중국인 등이 늘면서 여행수지가 개선된 영향이다. 8월 여행수지는 10억7천만달러 적자로 1년 전(15억5천만달러 적자)보다 감소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2015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3년 11개월 연속 증가하다 8월 들어 처음으로 감소했다. 미국 등 주요국 주가가 하락하고 세계 경기 둔화 우려에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해외 채권투자도 줄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는 6억2천만달러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9억달러 늘었고,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11억5천만달러 줄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