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9일 한글날을 맞아 '전하는 말'을 내고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하는 말에는 최근 정치 현안을 빗대거나 평가한 표현은 담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주시경 선생의 글꼴로 전하는 말을 남겼다. '주시경체'는 한국교육방송공사가 한글학회로부터 주시경 선생의 '국어문법' 육필본 원본자료를 협조받아 제작한 서체로 국민들에게 무료로 배포중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전하는 말'에서 "3.1독립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에 맞는 뜻깊은 한글날"이라며 "573년 전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일제강점기 한글을 지켜낸 독립운동가들의 민족정신을 되새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일제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었다.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연구회 선각자들은 고문과 옥살이를 감수하며 한글을 연구했고, 끝내 1947년 '우리말큰사전'을 편찬했다.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라고, 선생들은 머리말에 적었다'고 했다.
아울러 "한글만이 우리의 생각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별 헤는 밤', 방정환 선생의 순수아동잡지 '어린이', 항일 언론 '대한매일신보'는 순 우리글로 쓰였다. 우리 글을 쓰고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삼천리강산을 잊지 않을 수 있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글은 배우기 쉽고 아름다운 글이다. 1945년 무려 78%였던 문맹률은 13년이 지난 1958년 4.1%로 줄었고, 글을 깨친 힘으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었다.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되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한글이 대한민국이며 한글이 우리를 세계와 연결한다. 간도, 연해주, 중앙아시아, 하와이를 비롯해 우리 민족이 새로 터를 잡은 곳에서는 어디든지 학교부터 세워 한글을 가르쳤다. 지금도 전 세계 180개 세종학당에서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가 아주 뜨겁다. 국경을 넘는 한류의 밑바탕에 한글이 있었다. 우리말 노래를 따라 부르는 젊은이들을 만날 때마다 한글에 대한 자긍심을 느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역사와 우리 것에 대한 소중함, 미래의 희망이 한글에 담겨 있다.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 가꿔온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전하는 말을 맺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