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재인 대통령, 한글날 맞아 '전하는 말' 냈지만 정치 현안은 언급 안해

"국어학자들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

문재인 대통령은 9일 한글날을 맞아 SNS를 통해 '전하는 말'을 내고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하는 말에는 최근 정치 현안을 빗대거나 평가한 표현은 담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주시경 선생의 글꼴로 전하는 말을 남겼다. '주시경체'는 한국교육방송공사가 한글학회로부터 주시경 선생의 '국어문법' 육필본 원본자료를 협조받아 제작한 서체로 국민들에게 무료로 배포중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3·1독립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에 맞는 뜻깊은 한글날"이라며 "573년 전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일제강점기 한글을 지켜낸 독립운동가들의 민족정신을 되새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일제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었다.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연구회 선각자들은 고문과 옥살이를 감수하며 한글을 연구했고, 끝내 1947년 '우리말큰사전'을 편찬했다.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라고, 선생들은 머리말에 적었다'고 했다.

아울러 "한글만이 우리의 생각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별 헤는 밤', 방정환 선생의 순수아동잡지 '어린이', 항일 언론 '대한매일신보'는 순 우리글로 쓰였다. 우리 글을 쓰고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삼천리강산을 잊지 않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글은 배우기 쉽고 아름다운 글이다. 1945년 무려 78%였던 문맹률은 13년이 지난 1958년 4.1%로 줄었고, 글을 깨친 힘으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었다.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되었던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