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이 화제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 및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진 박정희 유신독재에 반대한 시위사건이다.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 시민들이 합세하여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전개됐다.
1979년 5월 3일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민주회복'의 기치를 든 김영삼이 총재로 당선된 후 8월 11일 YH사건, 9월 8일 김영삼에 대한 총재직 정지 가처분 결정, 10월 4일 김영삼의 의원직 박탈 등 일련의 사건이 발생함으로써 유신체제에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불만이 크게 고조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10월 13일 신민당 의원 66명 전원이 사퇴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공화당과 유정회 합동조정회의에서 '사퇴서 선별수리론'이 제기되어 부산 및 마산 출신 국회의원들과 그 지역의 민심을 크게 자극하고 말았다.
그 결과, 10월 15일 부산대학에서 민주선언문이 배포됐다. 16일 5,000여 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했고 시민들이 합세해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전개되었다.
시위대는 16일과 17일 이틀 동안 정치탄압 중단과 유신정권 타도 등을 외치며 파출소·경찰서·도청·세무서·방송국 등을 파괴하였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 및 창원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이에 정부는 18일 0시 부산 지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수 많은 사람을 연행,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비록 시위는 진정되었으나, 26일 대통령 박정희가 사망함으로써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된 것이 부마민주항쟁이었다.
한편 지난달 부마민주항쟁은 무려 40년간의 기다림 끝에 국가지념일로 지정됐다. 재평가받은 부마민주항쟁의 첫 정부공식 기념식은 16일 오전 10시 경남대학교에서 열린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