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부마항쟁 가해자 책임규명…역사정의 확립"

올해 첫 국가기념일 된 10·16 민주항쟁
문 대통령 "피해 보상과 책임 소재 분명히"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6일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대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 민주열사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6일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대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 민주열사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처음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부마민주항쟁의 4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념식이 16일 오전 창원 경남대학교 대운동장에서 진행됐다.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패하자들의 고통을 돌보지 못했던 시간이 길었다. 깊은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국가가 부마민주항쟁을 돌보지 못 했을 때도 부산경남시민들이 계속 항쟁기념일을 지켜왔다. 국가기념일 지정에 애쓴 모든 분께 깊이 감사한다"고 말했다.

또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보상에 더욱 힘을 쏟겠다"고 민주항쟁 과정에서 발생한 피해 보상과 함께 책임 소재를 가리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기념식은 부마민주항쟁이 시작된 10월 16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처음 열리는 정부주관 행사다.

부마민주항쟁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독재 체제에 저항해 1979년 10월 16일부터 닷새간 부산과 마산(현 창원시 마산합포구·회원구)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이다.

10월 16일 부산에서 5천여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고 시민들이 합세해 유신헌법과 긴급 발동 등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시작해 10월 18일에는 마산, 창원, 진주 지역으로 확산됐다.

당시 정부는 계엄령과 위수령을 내려 1천560여명을 연행하고 120여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부마민주항쟁 발생 열흘 만인 10월 26일 당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부마사태의 수습책을 놓고 차지철 대통령경호실장과 언쟁을 벌이다 박정희 대통령과 차 실장을 총으로 숨지게 함으로써 유신체제가 막을 내렸다.

짧은 시위 기간이었지만 군사정권 18년을 끝내며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등과 함께 우리나라 현대사를 대표하는 민주화운동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