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마·무용·수렵…1500년전 행렬도 담긴 신라 토기 첫 발굴

경주시 쪽샘 44호분서 수습한 토기편에 선으로 묘사
“인물·복식 묘사 구체적…고구려와 교류 보여주는 자료”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한 토기 조각에 새겨진 신라인 행렬도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한 토기 조각에 새겨진 신라인 행렬도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말을 탄 인물과 그 뒤를 따르며 춤추는 사람들, 활로 사슴과 멧돼지를 사냥하는 사람들, 말을 탄 주인공과 그를 따르는 개.

신라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돌무지덜넛무덤)인 경북 경주 쪽샘 44호 무덤에서 옛 신라인의 행렬이 새겨진 장경호(長頸壺·목이 긴 항아리) 조각들이 처음 세상에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진행 중인 쪽샘 44호 적석목곽묘 발굴조사에서 신라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와 말 문양이 새겨진 토기, 44호 제사와 관련된 유물 110여 점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44호 제사대호 배치 현황.(위쪽부터 시계방향) 신라 행렬도 세부 문양으로 그림에서 짙은 색이 현존하는 토기 조각이며, 흐린 부분은 추정해 넣은 것이다. 선각문 장경호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진행 중인 쪽샘 44호 적석목곽묘 발굴조사에서 신라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와 말 문양이 새겨진 토기, 44호 제사와 관련된 유물 110여 점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44호 제사대호 배치 현황.(위쪽부터 시계방향) 신라 행렬도 세부 문양으로 그림에서 짙은 색이 현존하는 토기 조각이며, 흐린 부분은 추정해 넣은 것이다. 선각문 장경호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5세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조사를 통해 신라 행렬도가 선으로 묘사된 선각문(線刻文) 토기 조각을 수습하고 16일 현장을 공개했다.

행렬도가 새겨진 장경호는 44호 호석(護石·무덤 둘레에 쌓는 돌) 북편에서 부서진 조각 형태로 출토됐다. 전체 높이는 약 40㎝, 제작 시기는 5세기 중후반으로 추정된다.

주둥이 부분(경부)과 어깨 부분, 몸체 등에 다양한 무늬와 그림이 새겨진 게 특징이다. 문양은 크게 4단으로 이뤄져 있는데 가장 위쪽인 1단과 그 아래인 2단, 가장 아래쪽인 4단엔 기하학 문양을 반복해서 새겼다.

신라 행렬도는 3단에 새겨져 있다. 기마행렬·무용·수렵·주인공이 차례로 이어지도록 구성돼 있다. 문양의 전체 구성으로 볼 때 행렬도를 묘사한 것으로 보이며, 행렬도를 새긴 토기는 출토된 정황으로 미뤄 무덤 제사를 위한 토기로 만들어진 것 같다는 게 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신라 행렬도가 그려진 선각문 장경호 조각.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신라 행렬도가 그려진 선각문 장경호 조각.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그림과 연관된 신라 유물 가운데 행렬도 형식으로 기마·무용·수렵 행위를 묘사한 첫 토기인데다, 인물·동물·복식 묘사가 구체적이고 회화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 고구려 무용총 등 고분벽화의 행렬도·수렵도 등을 구성하는 여러 표현과도 비슷한 측면이 많아 당시 밀접했던 신라·고구려의 대외관계를 분석하는 근거 사료로도 주목할 만하다.

지금까지 신라 행렬도로는 울산 천전리 각석 암각화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말을 탄 사람과 걸어가는 사람만 있어 구성이 쪽샘 44호분 토기만큼 다채롭지는 않다.

행렬도를 새긴 토기가 출토된 곳 인근에서는 발형기대(鉢形器臺·그릇받침)의 다리 부분으로 추정되는 토기 조각 2점도 나왔다. 토기 표면에 말을 그렸는데, 말갈퀴, 발굽, 관절뿐 아니라 갑옷을 입은 모습까지 상세하게 묘사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대 토기의 말 새김 문양 가운데 회화적 표현이 가장 우수하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그 밖에 무덤 주변에서 대호(큰 항아리) 9점을 포함한 다양한 제사 유물 110여점도 출토됐다. 대호는 호석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묻었고, 대호 내외부에서는 고배(高杯·굽다리접시), 개배(蓋杯·뚜껑접시), 토제 악기, 토제 방울 같은 작은 토기가 나왔다. 이 제사 유물은 시차를 두고 몇 차례에 걸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처럼 열을 지어 대호를 배치한 사례를 경주 서봉총 남분인 데이비드총과 금령총 등 일부 무덤에서 확인했는데, 44호분에서는 그런 흔적이 가장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 쯤엔 남은 과제인 매장주체부(시신과 부장품을 묻는 장소) 발굴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