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가 갈수록 줄어드는 인구 탓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한때 인구 증가 호재로 여겨진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이 오히려 인구 유출이라는 부메랑이 되고 있다.
18일 안동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안동시의 인구는 16만73명으로 집계됐다.
안동시 인구는 1974년 27만 명에서 매년 줄어 2006년 16만9천 명으로 16만 명대까지 떨어졌다. 이후 시는 인구유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고, 14년째 16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6년 경북도청 신도시로 각종 기관이 이전하고 신규아파트의 입주가 시작된 후 장밋빛으로 점쳐지던 안동시 인구는 해마다 하강 곡선을 그렸다.
2015년(16만9천200명)까지 매년 인구가 소폭 증가하다가 경북도청 이전이 완료된 2016년 16만8천800명으로 줄기 시작해 2017년 16만6천300명, 2018년 16만2천200명으로 급감했다. 올해는 9월까지 1천400여 명이 감소했다.
안동시의 인구감소는 도청 신도시와 밀접한 것으로 분석된다.
애초 도청 신도시 조성은 호재로 여겨져 안동의 부동산 가격을 크게 상승시키는 등 도시 활성화의 촉매제가 됐지만, 막상 도청 신청사가 입주하면서 환상은 깨지기 시작했다.
신도시 내 아파트의 초기 하자문제가 불거지고, 신규 아파트의 대규모 물량에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서 신도시 내 부동산 거래가 침체됐기 때문이다.
지역 한 부동산중개업자는 "시민들 상당수가 신도시 내 신규 아파트를 투기 명목으로 구매했는데 대규모로 물량이 나오자 가격이 떨어지고 거래까지 안 되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이 때문에 분양대금을 결제하고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구도심 내 아파트를 헐값에 처분하고 신도시로 이주하는 일도 많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동산업자는 "도청 신도시 내 아파트 대부분은 예천군 호명면 소재지에 건설돼 실질적으로 안동시 인구가 예천으로 빠져나간 셈이다"고 했다.
안동시는 관외 주소를 둔 직원들과 대학생 및 기숙학원생들의 전입을 적극 유도하는 등 인구 유지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