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남기 취임 후 공기관 임원 56.2% '캠코더' 인사"

추경호 분석, "전문성 없고 선거 출마용, 경력 관리용 인사 수두룩"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

문재인 정부 들어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명·제청한 공공기관 임원 329명 중 185명(56.2%)이 '캠코더 인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대구 달성)은 2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취임 후 임명·제청한 공공기관 임원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이른바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인사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추 의원은 기재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를 분석한 결과, 홍 부총리가 취임한 지난해 12월 11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임명·제청한 공공기관 비상임이사 및 감사 113명 중 55명(48.2%)이 '캠코더' 인사라고 설명했다.

추 의원은 홍 부총리 전임인 김동연 부총리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문재인 정부 들어 기재부 장관이 임명·제청한 공공기관 임원 329명 중 185명(56.2%)이 '캠코더' 인사라고 주장했다.

현재 공기업·준정부기관 기관장은 대통령이나 주무 부처 장관이 임명하고, 공기업 상임이사직은 기관장이 임명하게 돼 있다.

낙하산 인사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에 이를 견제하기 위해 기재부 장관은 사외이사·감사 임명·제청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 기재부 장관의 임명·제청권 역시 낙하산 인사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추 의원은 "기재부 장관에게 공기업 사외이사 등에 대한 임명권을 부여한 것은 '낙하산' 기관장과 상임이사로 인해 공기업이 방만·부실해지지 않도록 견제하라는 취지인데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부동산 시장 안정과 질서유지를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감정원 상임감사로 민주당 이성훈 대구시당 부위원장이 올해 8월 제청됐고, 민주당 이윤구 양산시 지역위원회 사무국장이 같은 달 임명되는 등 해당 분야에 전문성과 경험이 없는 정치권 인사가 임명·제청된 사례가 있다"며 "이는 지역 정치인 출마용, 경력관리용 인사"라고 비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