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주 52시간 근무체계 도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내·농어촌 버스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 경북형 버스 운영모델 발굴에 나선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시내·농어촌버스 업체들은 인건비, 기름값 등 각종 비용 상승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수익이 나지 않는 농어촌 버스 노선 유지를 위해 시군이 재정을 지원하고 있지만 운송사업 여건은 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23개 시군의 교통·버스업체 여건 등을 감안한 '경상북도 버스운영 체계 개편' 연구용역에 조만간 돌입할 예정이다.
도 전체 시군을 대상으로 한 운영체계 개편 연구는 전례가 없던 것으로, 앞으로 1년간 진행될 이 사업에 모두 4억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경북도는 용역을 통해 우선 도내 운송업체와 운영 노선의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운전자 등 종사자의 근로실태를 살펴볼 계획이다.
이어 업체별 재정지원 현황 조사, 경영·재무분석 등을 거쳐 '경북형 운송원가 산정 표준모델'을 제시할 작정이다. 23개 시군마다 제각각인 운송원가 산정 기준을 통일해 합리적인 시내·농어촌버스 요금 산정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노선체계 개편·효율화 방안도 제시할 계획이다.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다른 시군 경계의 버스 노선을 효율화하고 버스와 철도,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과 원활히 환승할 방안을 찾아본다는 전략이다.
나아가 '경북형 버스 운영모델' 발굴이 이번 연구의 주요 과제다. 민영제, 준공영제, 공영제 등 여러 버스운영 모델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외국 사례까지 검토해 경북도에 가장 맞는 버스 운영모델이 무엇인지 찾아본다는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면적이 넓고 농어촌이 많으며 고령화가 심각한 경북의 특성을 감안해 노선체계, 버스운영 모델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선례가 없었다"며 "연구 결과가 나오면 도내 시내·농어촌 버스 운영 효율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