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수 총리' 기록을 세우는 이낙연 국무총리의 정치 재개 시점이 관심이다. 이 총리는 28일 '재임 881일'(2년 4개월 27일)을 맞으며 김황식 전 총리의 재임 기록을 뛰어넘는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내각을 이끌어온 이 총리는 '관리형'과 '정무형' 총리로서 균형감을 발휘하며 현재 여권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다.
한일 갈등 국면에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회담하며 1년 여 동안 꽉 막힌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는 데 어느 정도 기여했다.
나름의 역할을 해온 만큼 당정청 모두 이 총리의 정계 복귀를 기정사실화하는 모습이지만 문제는 시기다.
일각에선 내년 총선이 6개월도 남지 않은 가운데 조기 등판 가능성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당내 자기 세력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상징성 있는 지역에 출마해 여의도에 재입성하는 것은 물론 총선 승리에 힘을 보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로 더불어민주당이 흔들리는 것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당청의 기류는 다소 다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청와대 출입기자단 초청행사에서 "지금 법무부 장관 (인선) 외에는 달리 개각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의 당 복귀를 당장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여권도 후임 총리 교체에 나설 경우 일정 폭의 개각이 불가피한 데다, 국회 인사청문회 리스크가 커진다는 점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이 총리가 총선에 출마할 의중이라면 공직자 사퇴 시한(선거 90일 전)인 1월 중순 이전에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이와 관련,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이 총리가 정부에 남을지, 당으로 돌아갈지는 당청과의 교감과 조율 속에 이루어지지 않겠느냐"며 "현재로선 그 시기를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