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 격전지인 중부 태평양 타라와섬에 강제로 끌려갔다가 숨진 한국인 가운데 1명의 유전자 정보가 유가족과 일치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이는 우리 정부 주도로 태평양 지역에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 신원을 확인하고 봉환을 추진하는 최초 사례다. 정부는 미국·일본과 협의해 내년 초에는 유해 공식 봉환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28일 더불어민주당 권미혁 의원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과수가 타라와 강제동원 피해자 남성 A씨의 유해 샘플(뼛조각)과 A씨의 아들로 추정된 B씨의 DNA 감식 결과, 친자관계일 확률이 99.9999%로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행안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에 강제동원희생자유해봉환과를 신설하고, 러시아 사할린 중심으로 이뤄지던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 봉환작업을 일본과 중국 하이난, 태평양 지역 등으로 넓혔다.
지난 4월에는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으로부터 타라와에서 발굴된 아시아계 유해 중 DNA 검사가 가능한 145구의 샘플을 넘겨받았다. 이어 타라와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 184명의 DNA를 확보해 분석·대조 작업을 벌여왔다.
이번에 확보한 유해 가운데 A씨 샘플의 이름은 '타라와 46번'이다. 이번에 진행된 DNA 분석에서 신원이 확인된 것은 이 한 건뿐이다.
이 '타라와 46번' 유해가 고국 땅을 밟게 되면 우리 정부가 관련국과 협의해 직접 태평양지역에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를 확인하고 봉환하는 첫 사례가 된다. 이전까지는 일본 정부 등에서 수습한 유해를 우리 정부나 민간단체가 전달받는 형식이었고, 유해 발굴 지역도 일본과 사할린에 집중돼있었다.
타라와전투는 1943년 11월20∼23일 일본과 미국이 현 키리바시 공화국 수도인 타라와를 놓고 벌인 것으로 태평양전쟁 중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로 꼽힌다. 나흘간 전투로 양측에서 6천여명이 숨졌는데 상당수가 조선인 징용 피해자였다. 정부는 요새 구축 등에 동원된 조선인 1천200여명 중 90%가 전투 중 숨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황동준 강제동원희생자유해봉환과 과장은 "의미 있는 사례인 만큼 관련국 간의 일치된 의견을 토대로 예우와 격식을 갖춰 유해를 모셔올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