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소리 듣고 위로와 평안한 마음 가졌으면…"
지난달 31일 낮 12시 5분 전 계산성당, 김창호(65·세례명 안토니오) 씨는 휴대폰에 맞춰놓은 알림 소리를 듣고는 하던 일을 접고 곧바로 종탑으로 향한다. 성당 안 계단을 따라 2층에 마련된 작은 다락방으로 올라간다. 의자에 앉은 후 옷 매무새를 가다듬고는 성호(가톨릭 신자가 손으로 가슴에 긋는 십자가를 이르는 말)를 긋고 짧은 기도를 한 다음 시계가 정확히 낮 12시를 가르키자 하늘 향해 두 손 모으듯 4층 종탑으로 이어지는 10m 길이의 밧줄을 그러모아 틀어쥐고는 온몸에 체중을 실어 힘껏 잡아 당긴다. 처음에는 매달리듯 잡아 당기다가 무릎을 이용해 반동을 주면서 종을 친다. 짧게 세 번씩 세 번을 울리고는 연달아 세른세 번을 친다.
'땡땡땡~ 땡땡땡~ 땡땡땡~ 땡땡땡땡땡…'
김 씨도 밧줄을 타고 손끝으로 전달되는 종의 숨소리를 듣는다. 종을 치는 시간은 1분 10초 정도. 짧은 시간이지만 김 씨의 얼굴은 상기된 모습이다. "무거운 종을 움직여 소리를 내려면 밧줄에 거의 매달려야 합니다. 또 집중해서 종을 쳐야 하기 때문에 힘들어요. 그러나 종을 예쁘게 치고 내려올 땐 기분이 좋습니다."
종을 친 지 5년이 넘었다는 김 씨는 그동안 실수도 있었다고 했다. "시간을 잘못 알고 늦게 쳐 삼종기도를 하려고 기다리고 있는 주위에 있는 신자들로부터 항의를 받은 적이 있다"며 "그 뒤로부터는 시간은 물론 종을 칠 때 딴생각을 안 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김 씨는 밧줄을 당길 때 자신 나름의 공식이 있다고 했다. "세게 잡아 당겨도, 가볍게 잡아 당겨도 안 됩니다. 저는 밧줄 잡은 손을 코밑까지 당길 때 가장 예쁜 소리가 나 그렇게 하고 있다. 컨디션에 따라 종소리가 달라 좋은 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고 했다.
김 씨는 종을 친 지 5년이 넘었다. 매일 정해진 시간에 종을 치는 김 씨는 모든 생활은 성당의 종을 중심으로 맞춰져 있다. "주차관리와 청소, 환경정리를 하다가도 종치는 시간이 되면 모든 일을 멈추고 종탑으로 올라갑니다."
종을 치는 데 특별한 비결이 있을까. 김 씨는 "먼저 있던 분이 가르쳐준 대로 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종을 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그 안에 담기는 정신은 신자들이 종소리를 듣고 기도하도록 이끌어줌으로써 하느님께 다가가도록 돕는 것뿐"이라며 "종 치는 일은 저의 소명인 것 같다"고 했다.
김 씨는 "종 치는 시간이 예수의 강생과 부활의 신비를 묵상하는 더없이 행복한 시간"이라며 "신자들이 내 종소리를 듣고 기도하면서 하느님께 더 가깝게 다가가는 기회가 되시기를 기도한다"고 말했다.
계산성당 종지기는 김 씨 이외에도 이선훈(68·베드로) 씨와 김점종(61·살비오) 씨 등 2명이 더 있다. 이들 세 사람은 아침, 낮, 저녁을 번갈아 가며 종을 친다. 이들은 종 치는 일 외에도 주차관리, 환경관리 등 성당의 모든 궂을 일을 도맡아 한다.
이선훈 씨는 "종소리를 듣는 사람들이 평온한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작년 1월에 종치는 일을 시작했다는 막내 김점종 씨는 "길을 가다 종소리를 듣고 기도하는 신자를 볼 때면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계산성당 두 개의 종, 서상돈·김젤마나가 기증
계산성당은 1898년 준공됐지만 1901년 화재로 전소됐다. 신부와 신자들의 노력으로 1902년 2개의 종탑을 갖춘 오늘날의 성당을 완공했다. 당시 2개의 종탑에 달 종도 축성되는 예식이 있었다. 두 개의 종은 국채보상운동의 주창자 서상돈(아우구스티노)과 김젤마나가 기증했다. 종의 이름도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아우구스티노와 젤마나로 불리고 있다. 종탑에는 큰종과 작은 종이 있는데, 평소에는 큰종을 치다가 부활절과 성탄절 미사 때 같이 친다. 계산성당 심인섭 사무장은 "큰 종은 울림이 깊고, 작은 종은 경쾌한 소리를 낸다"고 했다.
◆삼종의 유래
삼종이란 말은 종을 하루 세 번 친다는 뜻이다. 이 종소리를 듣고 바치는 기도라고 해서 삼종 기도라고 한다. 먼저 '땡 땡 땡' 세 번을 치고, 약간 쉬었다가 다시 '땡 땡 땡' 세 번 치고, 또 약간 쉬었다가 '땡 땡 땡' 세 번 친 다음 서른세 번을 연속으로 친다. 종을 세 번씩 치는 이유는, 예수의 강생구속 도리가 세 가지로 나뉘어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세 번은 삼종기도 시간임을 알리는 종이고, 서른세 번 연속해서 치는 종은 예수 그리스도의 33년 간의 삶을 상징한다.
삼종기도의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11세기 십자군이 창설되었을 때 출발 직전에 승리를 위해 종을 치고 기도를 바친 데서 유래했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만종(晩鐘)이라 해서 저녁에만 했다가 아침, 낮에도 행해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