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 주 동안 홍콩, 칠레, 이라크, 스페인 카탈루냐 등 전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시위들이 과거에 비장한 분위기였던 대규모의 시위와는 다르게 절박한 가운데에서도 '재미와 연대'를 추구하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영국 시사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6일 이런 흐름을 '제3의 (반정부 시위) 물결'이라고 규정하면서, 지구촌에서 동시다발적인 반정부 시위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이유를 짚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학생 운동과 민권 운동이 서구 사회의 근본 가치를 뒤흔든 1960년대 후반의 서유럽과 미국에서의 저항의 물결,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 민중의 힘으로 독재와 공산주의를 끝장낸 아시아와 동유럽의 '피플 파워' 시위 이후 전 세계 성난 군중이 이처럼 한꺼번에 거리로 몰려나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앞선 두 시대의 대규모 시위가 서로 더 연계돼 있었던 반면, 현재의 시위는 공통점이 모호하다고 주장했다. 칠레의 지하철 승차권의 4% 인상, 레바논의 왓츠앱에 부과한 세금, 홍콩의 범죄 용의자 중국 송환 반대 등 시위가 촉발된 사정부터가 각양각색임을 알 수 있다.
그래도 시위의 원인으로 경제적 불평등, 인구학적 요인, 음모론 등 크게 세 가지 이유가 꼽힌다. 시위 주도 세대가 대개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젊은 층인데 이들은 대개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성년을 맞이함에 따라 경제 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는 점에서 인구학적 요인이 거론된다.
중국 정부가 홍콩 시위의 배후로 미국을 지목하고, 칠레, 에콰도르 등 중남미 시위가 쿠바와 베네수엘라 등 좌파 사회주의 정권의 선동으로 불이 붙었다고 주장하는 시각에는 음모론이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코노미스트는 이 같은 가설들을 최근 지구촌 시위의 공통된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지금까지 좀처럼 언급되지 않은 3가지 원인이 각각의 시위의 저변에 흐르고 있다고 제시했다.
우선, 시위대가 법적, 신체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재미'를 위해 거리로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시위는 일상의 고된 일보다 훨씬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을 수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연대'도 최근의 반정부 시위를 관통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꼽았다. 주변 사람들 모두가 시위에 참여할 때 연대는 어느새 사람들이 따라야 할 유행이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과 텔레그램 등과 같은 비밀 메신저 등은 시위가 조직되며, 퍼지는 양상까지 바꿔놓았다.
아울러, 사람들이 선거를 통한 대의 민주주의가 기후 변화 등 광범위한 문제를 푸는 데에 더는 소용이 없다고 느끼는 것도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반정부 시위의 공통된 동력으로 볼 수 있다고 이 잡지는 열거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면서 이번 제3의 반정부 시위 물결이 세계적인 혁명의 조짐이 아니라, 단순히 새로운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