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러시아, 시리아 이어 리비아 내전에도 개입 착수"

NYT 보도…"시리아 내 영향력 확대전략과 판박이"
러, 미국 배신·철수하는 아프리카·중동서 세력 확장

러시아가 시리아에 이어 리비아 내전에도 개입해 영향력을 확대하는 반면 미국은 이곳에서도 발을 빼는 형국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지난 6주 사이 200명의 용병을 리비아 내전에 투입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다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는 4년 동안 막후에서 금융과 전술적 지원으로 한 리비아 군벌을 지원했으나 이제는 대놓고 개입해 리비아의 미래를 좌우하려 하고 있다. 러시아는 리비아 내전에 숙련된 저격수뿐 아니라 첨단 수호이 전투기, 미사일 공습, 정밀유도 포격 등을 동원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시리아 내전에 개입해 킹메이커가 되기까지 사용한 교본과 판박이 전술이다.

트리폴리 과도정부의 파티 바샤가 내무장관은 이와 관련, "시리아와 정확히 똑같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미는 군벌은 전직 군 장성 출신인 칼리파 하프타르(75)로 리비아 동부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하프타르는 또한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때론 프랑스의 후원도 받는다. 하프타르는 현 트리폴리 당국을 지원하는 서부 리비아 군벌 연합세력과 5년 넘게 내전을 벌이고 있다.

당초 트리폴리 정부는 2015년 유엔에 의해 세워졌고 공식적으로는 미국 등 서방이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터키만이 유일한 후원국이다. 여기에 러시아 지휘부(크렘린궁)와 긴밀히 연계된 러시아 용병 세력이 새로 개입하고 나선 것은 시리아 내전과 닮은꼴 가운데 하나이다. 시리아 경우처럼 리비아에서도 한때 미국과 힘을 합쳐 이슬람국가(IS)에 맞서 싸웠던 현지 파트너들은 미국이 자기들을 버렸다는 배신감을 토로하고 있다.

리비아는 2011년 '아랍의 봄' 여파로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축출된 이후 일종의 반목하는 도시국가들 형태로 붕괴했지만, 유전에서 나오는 수익과 트리폴리에 있는 중앙은행 덕에 간신히 정부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바로 이 중앙은행과 유전 수익을 독차지하기 위해 군벌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