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는 내년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위기감이 자유한국당 내에서 분출하는 가운데 그 핵심이 될 인적쇄신과 관련, 대구경북(TK)이 지목되고 있다.
당 지지세가 강한 TK지만 TK정치권이 그동안 보여줄만한 정치적 위상을 쌓지 못하면서 쇄신의 중앙에 놓이며 그야말로 '동네북' 신세가 된 꼴이다.
여러 이유가 있으나 보수당의 핵심지지 지역임에도 당 지도부 배출에 실패했고 각종 정국 현안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발언권을 행사하지 못한 것이 TK 정치 위상 추락을 이끈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TK 정치권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침묵했고, 당이 위기에 빠졌을 때, 보수 전체가 흔들렸을 때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지도, 정풍운동에 나서지도 못했다.
약해질대로 약해지다보니 타 지역 정치권들로부터 '공격'이 들어와도 '방어' 태세마저 갖추지 못하고 있다.
◆TK 인적쇄신 당 위기 극복할 만능키(?), 지역민 의중보다 앞서가는 공천 없어야
김태흠 한국당 의원은 지난 5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처음으로 당의 '혁신'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면서 영남권 3선 이상 용퇴 또는 수도권 험지 출마 등을 주장했다.
김 의원은 "영남권, 서울 강남 3구 등 3선 이상 선배 의원님들께서는 정치에서 용퇴를 하시든가 당의 결정에 따라 수도권 험지에서 출마해 주길 바란다"며 "원외 전·현직 당 지도부, 지도자를 자처하는 인사들도 예외는 아니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당의 '투톱' 가운데 한 명도 지역 언론인들과 만나 영남권 중진들의 험지출마를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고 신상진 신정치혁신특별위원장도 영남권 중진의 솔선수범과 헌신을 요구한 바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지역 정치권은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보수당이 지역민의 꾸준한 지지에 이렇게 답을 해서는 안 된다"며 "지역 고유의 정치환경과 지역민들의 선택권을 박탈하는 행태를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공식적으로 상향식 공천을 지향한다고 천명하고 있는 공당에서 특정지역민의 의중을 확인하지도 않은 채 특정 선수의 용퇴와 물갈이 비율을 언급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반발도 이어진다.

◆보수당의 텃밭 패싱에 보수 본류인 대구경북지역 국회의원 책임론 부상
원내 보수정당인 한국당의 '텃밭' 무시 기조가 이어지자 보수의 본류인 TK 국회의원들을 향해 책임론이 제기된다.
당의 핵심지지 지역에서 조차 당의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데 지역 국회의원들이 차기 총선 공천권자에 '줄대기'에만 골몰하고 있다는 모양새를 보여서다.
공천만 받으면 쉽게 당선될 수 있으니 유권자에게 내보일 경쟁력을 높이기보다는 공천장을 줄 '힘있는 인사'에 기대온 관습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있는 것이다.
조국 사태로 한국당이 모처럼 보수의 힘을 모았지만 이내 지지율이 추락하자 당내에서 쇄신과 물갈이를 주장하는 공개 발언이 나오고, 6일에는 유민봉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당 혁신의 밀알이 되겠다고 선언했지만, TK 정치권은 침묵 일관이다.
정풍운동은커녕, 'TK 정치권을 갈아엎어야한다'는 주장에도 말 한마디 하는 인사가 없다.
지역 정치권에선 "이런 사람들이 보수를 대표하는 지역의 국회의원이라고 할 수 있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예전 김무성 의원이 당대표 시절, 지역 국회의원들을 동메달이라고 했을 때, 지역 무시발언이라 화를 냈으나 요즘보니 그말이 꼭 맞다"며 "당이 위기에 몰려도 '나만 아니면 돼'식 방관 자세가 TK 정치권 깊숙이 자리하고 있고, 개선 여지도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지역인재 육성 부진 ▷반복된 한국당의 공천농단 ▷지역구관리에만 골몰하는 현역 의원의 안일한 의정활동 등을 TK 정치의 몰락 원인으로 지목한다.
그간의 선거를 봤을 때, 지역기반이 약한 출향 인사들이 총선에 임박해 '낙하산 공천'을 받아 당선돼 왔고, 그들은 자신의 약점을 보완해 재선, 삼선의 다리를 놓고자 지역구 관리에만 집중, '전국구 인물'로서의 중량감을 키우는 데 한계를 보여왔던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지역민들과 동고동락하며 성장해 성공의 결실을 나눈 인사들이 탄탄한 지역기반을 바탕으로 국회로 진출하는 대안도 고려해야 한다"며 "국회의원 임기 마치면 서울로 돌아가는 '경력추가형 국회의원'만 넘쳐나서는 지역정치의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역여론보다는 보수당 대표에 대한 충성도를 중심으로 공천이 이뤄지는 폐단을 끊기 위해선 지역민들이 합리적 투표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