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대 민교협·동문·시민단체 "70년사·논문비리 진상규명 촉구"

경북대 본관서 기자회견 열고 70년사 실종사태, 교수-자녀간 연구비리 규탄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 및 경북대 70년사 정상화 시민 동문 모임 등 학내외 단체들이 6일 오후 경북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 및 경북대 70년사 정상화 시민 동문 모임 등 학내외 단체들이 6일 오후 경북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0년사 출간방해'와 '교수 자녀간의 학사연구 비리' 규탄 및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경북대학교 일부 교수들과 동문, 시민단체들이 '경북대 70년사' 실종 사태와 교수-자녀 간 연구비리에 대해 학교 측의 진상 규명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민교협),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 대구참여연대, 대구경북지역 대학민주동문회, 경북대 70년사 정상화 동문·시민연대 등 학내외 12개 단체는 6일 경북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달 14일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두 가지 의혹에 대해 대학본부의 해명과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한다"며 "위법과 은폐에 저항하는 것은 우리의 정당한 권리"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선 경북대 70년사의 발행이 지연·축소된 데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책 속에 표기된 발행일자(2016년 10월)가 실제 발행일자(2018년 10월)와 다르고, 국비 1억원이 투입됐음에도 결과물이 사장(死藏)됐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집필 과정에서 학교 측의 지속적인 수정 요구는 역사학자가 양심에 따라 기술한 학문의 자율성을 훼손한 것"이라며 "발행 축소 등의 과정을 결정한 회의자료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북대 교수-자녀 간 학사 및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의혹도 언급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전 간호학과 A교수는 2016년 간호학과 대학원생으로 입학한 딸의 논문을 지도하고 지도학생 논문 다수를 딸의 논문으로 등록했다. 경북대는 당시 이 같은 내용을 보고받고도 해당 내용이 담긴 공문서를 철회하라고 지시하는 등 진상조사를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것이 이들 단체의 주장이다.

지난 국감에서 신경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2014~2016년 A교수가 간호학과 학과장이던 때에 김상동 총장이 교무부처장이었는데, 김 총장의 부인은 이 시기 간호학과에 교수로 임용됐다. 입증은 힘들지만, 김 총장이 A교수 사건에 개입한 정황"이라고 지적한 내용에 대한 해명도 요구했다.

엄창옥 경북대 민교협 공동의장(경제통상학부 교수)은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학내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전체의 문제"라며 "경북대가 지역사회의 주요 기관인 만큼 의혹에 대해 제대로 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성준 경북대 기획처장은 "사건 이후 지난해 간호학과 해당 교수는 해임, 자녀는 자퇴해 이미 종결된 문제다. 총장 부인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며 "70년사의 경우 집필진이 참여한 3차 회의를 7일 개최하는 등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김상동 경북대 총장에게 반론을 듣기 위해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