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후반기를 시작한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疏通) 행보에 주력하고 있다. 임기 후반기 첫 일정으로 여야 당대표들과 만찬을 한 데 이어 19일에는 국민과의 대화를 갖는다.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는 '대통령에게 묻고 싶은 어떤 질문도 할 수 있다'는 취지에 따라 공개 자유토론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 "주요 사안은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는 등 '소통 대통령'을 공약했다. 그러나 임기 전반기 문 대통령이 보여준 모습은 소통은커녕 '불통(不通) 대통령' 그 자체였다. 광화문 공약은 철회했고 직접 언론 브리핑도 거의 없었다. 비판 의견을 경청하고 수렴하는 게 소통의 핵심인데도 듣는 시늉만 할 뿐 비판을 받아들여 인사·정책에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소통 부재는 '조국 사태'와 같은 오만·독선적인 국정 운영으로 이어졌고 결국 싸움만 벌이다 길거리로 나가 진영 대결하는 것으로 전반기 임기를 끝내고 말았다.
임기 반환점을 돈 문 대통령은 미증유의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정치, 경제, 외교·안보, 북한 문제 등 어느 하나 제대로 돌아가는 것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다. 임기 초반 80%대에 달하던 지지율이 반(半) 토막이 나는 등 민심은 빠른 속도로 멀어졌고 그에 따라 국정 추진 동력도 현저히 떨어졌다. 문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 행보에 나선 것도 이런 위기를 인식한 때문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를 돌파하려면 흐트러진 국민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국력 결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국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찢어진 국론을 모으고 국민을 통합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 야당 등 비판 세력을 비롯해 시장·기업 등과 교감하고 국민과의 진정한 소통을 바탕으로 통합의 국정 운영을 실현해야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한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기 위한 출발점은 국민과의 소통 성공에 있다는 사실을 문 대통령은 명심하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