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르비 "'페레스트로이카' 후회 안해…소련 붕괴는 보수파 책임"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왼쪽)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1991년 7월 31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미·소 정상회담을 마친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서로 마주보며 활짝 웃고 있다. 부시 전 대통령은 탈(脫) 냉전의 분위기가 싹트던 시기에 고르바초프 서기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미·소 정상회담을 통해 40여 년에 걸친 냉전의 종식과 동서화합을 선언했다. 연합뉴스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왼쪽)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1991년 7월 31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미·소 정상회담을 마친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서로 마주보며 활짝 웃고 있다. 부시 전 대통령은 탈(脫) 냉전의 분위기가 싹트던 시기에 고르바초프 서기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미·소 정상회담을 통해 40여 년에 걸친 냉전의 종식과 동서화합을 선언했다. 연합뉴스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 소련 대통령은 소련 몰락으로 이어진 '페레스트로이카'(개혁·개방) 정책에 대해 지금도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9일 타스 통신에 따르면 고르바초프(88)는 '베를린 장벽 붕괴' 30주년을 맞아 독일 슈피겔지와 한 인터뷰에서 "이전과 같이 살 수는 없었다"며 "페레스트로이카의 주요 부분은 보편적 가치와 핵 군축, 선택의 자유 등을 포함하는 정치적 신사고였다"고 소개했다.

고르바초프는 이어 "페레스트로이카의 종말과 소련 붕괴에 대한 책임은 1991년 8월에 쿠데타를 일으키고 그 뒤 소련 대통령의 지위 약화를 이용한 자들이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1년 8월 흑해 연안의 크림반도에서 여름휴가를 즐기던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에 반대해 쿠데타를 일으킨 보수파들에 연금당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보수파의 쿠데타는 비록 '삼일천하'로 막을 내렸지만 고르바초프와 소련 지도부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