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마을 운동 세계화' 발전방안 모색…2019 새마을 국제포럼

12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서 열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기조연설 눈길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새마을 국제포럼'에서 장동희 새마을세계화재단 대표이사가 환영사를 하고 있다. 새마을세계화재단 제공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2019 새마을 국제포럼'이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새마을세계화재단과 한국정부학회가 마련한 이날 포럼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신재학 새마을세계화재단 이사장, 대학교수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국제개발협력과 새마을운동에 대한 회고를 주제로 한 첫 번째 섹션에선 리카 파티마 인도네시아 가자마자대 교수가 인도네시아 새마을운동의 평가지표 연구, 딘홍린 베트남 타이응웬대 교수가 베트남 신농촌개발 3단계 계획과 새마을운동 비교분석을 발표했다.

공동번영을 위한 전망과 전략을 주제로 한 두 번째 섹션에서는 아마라다사 스리랑카 여성부 공무원이 스리랑카의 농촌개발계획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개발전문가인 볼커 데빌 독일 바이로이트대 교수가 국제개발협력의 미래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섹션에서는 참석자들이 '새로운 접근, 원조를 넘어'를 주제로 종합토론을 벌였다.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새마을 국제포럼'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새마을세계화재단 제공

특히 이날 포럼엔 유엔 사무총장 재직 당시 아프리카 정상회담에서 새마을운동 적용 필요성을 주장하고 새마을운동 보급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였던 반 전 총장이 기조연설을 맡아 눈길을 끌었다.

반 전 총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새마을운동은 경제성장, 사회통합, 환경보전을 하나로 묶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개념과 닮은 점이 많다"며 "새마을운동 모델이 개발도상국들에 구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해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에 기여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경북도는 새마을운동 종주도로 새마을운동 경험을 공유해달라는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12년 11월 새마을세계화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은 현재 아시아, 아프리카 8개국에서 35개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프리카개발은행(AfDB)·국제농업개발기금(IFAD) 등과 코트디부아르, 토고에서 협력사업을 벌이고 있다. 2017년에는 베트남에서, 지난해에는 스리랑카에서 새마을 국제포럼을 열었다.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새마을 국제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새마을세계화재단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