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채점 후 대학별고사 응시 여부 판단법

수지 지원 대학과 정시 진학 가능 대학의 수준 비교해 선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능 문제지와 정답.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능 문제지와 정답.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

수능시험 가채점 직후 해야 할 일은 대학별고사 응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수시에서 지원한 대학의 수준과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한 정시 진학 가능 대학의 수준을 비교한 뒤 결정할 문제다. 이해하기 쉽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 안내한다.

◆수시 지원 대학 수준〈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정시에 진학 가능한 대학의 수준이 수시에서 지원한 대학 수준보다 높다면 대학별고사에 응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험생의 선호도에 달린 일이다. 수험생이 원하는 대학·학과에 정시로도 충분히 갈 만하다고 판단되면 예정된 수시 일정에 불참하고 정시를 준비하는 것이다.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 응시 기회가 막힌다. 이른바 '수시 납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아예 수시 대학별고사를 치르지 않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엔 수시 진학 카드를 포기하는 것이므로 정시 합격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분석해두는 게 먼저다.

◆수시 지원 대학 ≒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 수시 지원 대학과 정시 진학 가능 대학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라면 고민이 더 커진다. 일단 자신이 지원한 수시의 전형 일정과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정시 준비 시간이 부족하더라도 수시 대학별고사 일정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대학별고사를 치른 뒤 정시 지원 때 수시와 동일하게 지원할 것인지, 비슷한 수준인 다른 대학·학과에 지원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다만 수시 전형에서 합격할 경우 정시에 지원할 수 없어 반드시 수시로 합격한 곳에 등록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수시 지원 대학 수준 〉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정시에 진학할 수 있는 대학의 수준이 수시에 지원한 대학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다. 우선 수시 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살펴야 한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성적과 입시 요강 등을 참고해 정시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

반면 이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이 기준이 없는 전형에 지원했다면 일단 대학별고사 준비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 길지 않은 시간이지만 대학별 기출문제와 모의평가 문제를 착실히 챙기는 등 최선을 다해 준비해야 한다.

◆판단 전 유의 사항

가채점은 '추정치'로 정시 지원 가능성을 따지는 것이다. 수험생 자신에게 유리하게 발표된 곳의 자료를 토대로 정시 지원 가능성을 높게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 같은 자세는 실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유리한(높은) 점수를 뽑는 게 아니라 진학 가능 점수를 가급적 정확히 예측하는 게 중요하다. 여러 기관의 자료를 살펴보고 냉정하게 정시 진학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도움말=지성학원 진학지도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