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가채점 직후 해야 할 일은 대학별고사 응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수시에서 지원한 대학의 수준과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한 정시 진학 가능 대학의 수준을 비교한 뒤 결정할 문제다. 이해하기 쉽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 안내한다.
◆수시 지원 대학 수준〈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정시에 진학 가능한 대학의 수준이 수시에서 지원한 대학 수준보다 높다면 대학별고사에 응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험생의 선호도에 달린 일이다. 수험생이 원하는 대학·학과에 정시로도 충분히 갈 만하다고 판단되면 예정된 수시 일정에 불참하고 정시를 준비하는 것이다.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 응시 기회가 막힌다. 이른바 '수시 납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아예 수시 대학별고사를 치르지 않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엔 수시 진학 카드를 포기하는 것이므로 정시 합격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분석해두는 게 먼저다.
◆수시 지원 대학 ≒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 수시 지원 대학과 정시 진학 가능 대학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라면 고민이 더 커진다. 일단 자신이 지원한 수시의 전형 일정과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정시 준비 시간이 부족하더라도 수시 대학별고사 일정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대학별고사를 치른 뒤 정시 지원 때 수시와 동일하게 지원할 것인지, 비슷한 수준인 다른 대학·학과에 지원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다만 수시 전형에서 합격할 경우 정시에 지원할 수 없어 반드시 수시로 합격한 곳에 등록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수시 지원 대학 수준 〉 정시 진학 가능 대학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정시에 진학할 수 있는 대학의 수준이 수시에 지원한 대학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다. 우선 수시 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살펴야 한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성적과 입시 요강 등을 참고해 정시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
반면 이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이 기준이 없는 전형에 지원했다면 일단 대학별고사 준비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 길지 않은 시간이지만 대학별 기출문제와 모의평가 문제를 착실히 챙기는 등 최선을 다해 준비해야 한다.
◆판단 전 유의 사항
가채점은 '추정치'로 정시 지원 가능성을 따지는 것이다. 수험생 자신에게 유리하게 발표된 곳의 자료를 토대로 정시 지원 가능성을 높게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 같은 자세는 실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유리한(높은) 점수를 뽑는 게 아니라 진학 가능 점수를 가급적 정확히 예측하는 게 중요하다. 여러 기관의 자료를 살펴보고 냉정하게 정시 진학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도움말=지성학원 진학지도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