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엑스(f(x))의 전 멤버 설리가 유명을 달리 한 이후, 내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TV매일신문의 대중문화 비평 프로그램 '아니면 말고'에 그녀의 사망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무수한 악플을 견뎌야 했던 그녀였기에 '결국 설리를 죽음으로 몰고 간 건 우리들'이라는 요지로 이야기를 진행했다.
동영상이 유튜브와 네이버TV 등에 올라가고, 방송 대본 전문이 홈페이지에 공개된 뒤 댓글들을 살펴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아이디 'vg******'님의 고견(?)은 "공인은 선플도 악플도 다 감수해야하고 특히나 대중적 사회생활과 정치발언을 했다면 그에대한 댓글은 감수해야한다"며 "공인이 선플받고 돈 벌때는 좋다고 돈벌고 악플 받을때는 악플한 사람들을 범죄자 취급하는 마인드 정말 그것도 더럽다"라는 것이다.
이후 SBS '그것이 알고싶다'라는 프로그램에서 설리에게 악플을 단 사람들을 만나 왜 달았는지 이유를 물어봤다. 한 악플러는 "연예인은 관심과 사랑만 받는 게 아니다. 악성 댓글도 받아야 되고 그것도 견디고 그래야지"라며 자신이 악플을 단 게 무슨 대수냐는 듯이 이야기했다. 마치 연예인의 업무 중에 '욕받이'가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을 보며 뭔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의 생각이 왜 이렇게 날이 서 버렸는지도 궁금했다. 연예인의 직업적 사명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우리의 나쁜 감정을 대신 받아 줄 이유는 없다. '악플도 감수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는 사람은 연예인을 사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로 이해될 수 있다.
게다가 '공인'은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지 유명인을 모두 공인이라 할 수 없다. 더군다나 유명하다고 해서 악플을 받아야 할 이유는 더더욱 없다. 어떤 행동에 대해 비난할 수 있을지언정 그것이 왜 개인의 인격권까지 침해해 가면서까지 이뤄져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모두가 의문을 가져야 한다.
설리가 세상을 떠난 이후, 요즘 몇몇 아이돌이 건강 이상을 이유로 활동을 잠시 중단하는 사례가 많이 생겼다. 트와이스의 미나, 아스트로의 문빈과 세븐틴의 에스쿱스가 건강을 이유로 올 겨울에 무대에서 보기 힘들게 됐다. 갑작스런 불안증세나 공황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도 많고, 아니면 정확한 건강 상태를 밝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지금 케이팝 시장은 아이돌을 갈아넣다시피 하며 확장일로를 걷고 있다. 이렇게 아이돌이 건강이 상할 정도로 혹독하게 돌리는 이유가 단지 기획사가 돈벌기 위한 욕심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이유 중에는 '연예인은 우리를 위해 희생해야 한다'는 일부 팬들의 비인간적인 생각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악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