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내부에서 쇄신요구…일부 중진은 용퇴론 반발

5선 정갑윤 "경험과 패기의 조화"…중진 용퇴 반대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내부에서 당 위기에 대한 비판과 쇄신 요구가 들끓고 있다.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한국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의원 총사퇴가 필요하다", "당 쇄신 기대가 높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왔다.

정미경 최고위원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서 더불어민주당은 표 계산이 끝났다고 흘린다. 정의당이 합세한다고 하면 한국당은 뭘 할 수 있나. 눈 뜨고 공수처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놔두겠나"라고 말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렇게 해도 저렇게 해도 통과된다면 적어도 국민들을 위해서 한국당은 모두 국회의원직을 버리면서라도 저항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의원 총사퇴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며 총사퇴를 거론했다.

그는 "본회의에 회부되면 총사퇴해야 한다. 그리고 광화문에 가야한다. 국민들에게 직접 보고해야 한다"며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으면 싸우다 죽어야 한다. 좌파독재 법안 날치기 통과시킨다면 우리 국민들이 가만두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의원직을 갖고 법안이 통과된다면 국민들이 가만두지 않을 것이다. 제가 오늘 이 시간을 통해 호소드린다. 국회의원 총사퇴하라"고 거듭 말했다.

인적 쇄신 요구가 빗발치는 가운데 당 내에 일고 있는 중진 용퇴론에 대한 반발도 나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5선 정갑윤 의원은 "경험과 패기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중진 용퇴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정 의원은 "지난 탄핵 직후 김병준 비대위원장 체제를 둘러싸고 당이 갈등과 분열에 휩싸였을때 저는 중진으로서 책임을 지고 탈당했다"며 "국민의 지지가 최악인 상황에서 누가 그런 책임을 보여줬나. 좀더 많은 분들이 책임을 지고 희생했다면 우파 결집으로 이어져서 대선의 결과가 달라졌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은 당시도 지금도 책임과 희생 없는 한국당에 실망하는 것이다"라며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정치력을 약화하는 일방적인 맨밥 혁신이 아닌, 경험과 패기의 조화, 기성과 신인의 조화, 다양한 인적구성을 통한 비빔밥 쇄신으로 잘 비벼낸 한국당으로, 국민 입맛을 제대로 살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