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부 "제한적으로 보 개방한 낙동강 녹조 발생 증가"

보 개방 금강, 영산강은 녹조 발생 95% 감소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2일 오후 부산 사하구 하단2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지사를 방문,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 추진 중인 낙동강 하굿둑 단기개방 실험 등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2일 오후 부산 사하구 하단2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지사를 방문,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 추진 중인 낙동강 하굿둑 단기개방 실험 등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여름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과 영산강에서 녹조 발생이 크게 감소한 반면 제한적으로 보를 개방한 낙동강에서는 녹조 발생이 증가했다고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20일 밝혔다.

올해 6∼9월 녹조 발생량(유해남조류 세포수 기준)은 보 개방 이전인 2013∼2017년의 같은 기간 평균과 비교했을 때 금강은 95%, 영산강은 97% 감소했다.

이는 2013년 보 건설 이후 7년 중 최저치다.

금강은 올해 6∼9월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당 263개로, 같은 기간 5년 평균 4천800개보다 뚜렷하게 감소했다.

영산강도 5년 평균 ㎖당 4천693개에서 올해 162개로 줄었다.

반면 보 개방이 제한적이었던 낙동강에서는 올해 6∼9월 8개 보의 평균 녹조 발생이 2013∼2017년 같은 기간 평균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의 올해 6∼9월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당 평균 2만1천329개로, 5년 평균 1만6천210개를 크게 넘어섰다. 이는 보 건설 이후 2015년, 2018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환경부는 녹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보 개방의 영향을 받는 체류시간(유속) 외에 기온, 일조시간, 유량 등의 수문·기상학적 조건이 올해는 대체로 무난해 보 개방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낙동강에서는 상주·낙단·구미·칠곡보의 경우 개방하지 않았고 강정고령과 합천창녕보는 개방률이 각각 13%, 16% 수준이다.

달성(7%), 창녕함안보(5%)는 10%를 밑돌았다.

홍정기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4대강 보 개방이 녹조 저감에 효과가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라며 "낙동강도 보 개방을 확대해 녹조 발생을 줄이는 등 4대강의 자연성 회복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