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업硏, 내년 경제성장률 2.3% 전망…"대내외 불확실성 지속"

수출입 소폭 증가·무역흑자는 더 감소…건설투자 1.8%↓
12대 주력산업 수출 2.3% 증가…조선 '맑음'·자동차 '흐림'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다소 높은 2.3%로 예상했다.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수출이 소폭 증가에그치고 소비 부진도 계속되겠지만 정부 정책 등의 영향으로 투자 침체가 다소 완화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전망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다소 높은 2.3%로 예상했다.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수출이 소폭 증가에그치고 소비 부진도 계속되겠지만 정부 정책 등의 영향으로 투자 침체가 다소 완화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전망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다소 높은 2.3%로 예상했다.

산업연구원은 25일 발간한 '2020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제시했다. 올해 전망치는 2.0%로, 지난 6월보다 0.4%포인트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같고, 국제통화기금(IMF)보다는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정부는 최근 2.2~2.3% 이상 달성한다는 목표를 내놨다.

연구원은 내년 민간 소비에 대해 전반적인 고용지표 개선과 저금리, 대외 불확실성 완화 등 긍정적 기대감으로 인해 올해와 같은 2.0%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올해 침체에 따른 기저 효과와 반도체 업황 회복 등에 힘입어 3.5% 증가하고, 건설투자는 정부의 확장예산 기조로 감소폭이 줄어들겠지만 '마이너스 성장(-1.8%)'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2.5%)과 수입(3.3%)은 모두 올해보다는 늘어나겠지만 증가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무역수지 흑자는 387억달러로, 올해보다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내년 글로벌 여건은 세계경제의 둔화세 진정, 반도체시장 안정, 제품단가 혼조세, 통상 마찰 지속, 경쟁 심화 등 호·악재가 상존한다"면서 "대내적으로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낮은 증가세, 건설투자 부진, 국내 생산기반 약화, 노동시장 정책 변화 등으로 여건 개선이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