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청에서 근무했던 김영만(59) 씨는 지난 2004년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대구경북본부(이하 전공노 대경본부) 사무처장을 지낼 당시 공무원의 노동3권을 주장하며 벌인 파업으로 해고돼 15년째 해직 상태다. 그는 "해직되고 아버지 노릇을 못해 자식들에게 미안한 마음뿐이다. 정년이 1년밖에 남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꼭 복직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2002년 출범한 전공노가 16년 만인 지난해 법내 노조로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정부 시절인 지난 2004~2005년 해고된 136명은 여전히 해직 상태다. 이들은 복직 특별법 통과를 요구하면서 26일 전국 15개 시·도에서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중 올해 말 기준 37명이 정년을 맞는다. 5명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 지역에도 대구 4명과 경북 3명 등 7명의 해직자가 있는데, 대구 한 구청에서 근무했던 해직자는 지난 10월 우울증을 겪던 끝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다.

정년이 도래하는 공무원 해직자는 해마다 늘면서 전공노는 연내 복직 특별법 통과를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다. 전공노 대경본부도 이날 오후 달서구 상인동 윤재옥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직 공무원의 원직복직 특별법을 즉각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전공노 대경본부는 지난 25일 오후 2시부터 윤 의원 사무실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는 중이다. 지난 1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논의 예정이던 '노동조합 관련 해직공무원 등의 복직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복직 특별법)이 한국당 의원들의 퇴장으로 인해 회의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전공노 대경본부는 26일 오전 윤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법안소위 위원인 윤 의원이 오는 28일 열릴 회의에서 법안이 통과되게 해달라"고 요구했고, 윤 의원은 "여야가 타협점을 찾도록 공무원노조의 애로사항을 잘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복직 특별법 통과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등 여야의 정치 공방에 복직 특별법 처리는 뒷전인 탓이다.
심쌍욱 전공노 대경본부 사무처장은 "복직 특별법 통과를 요구하면 민주당은 한국당에, 한국당은 민주당에 가서 얘기하라며 핑퐁 게임을 벌이고 있다"며 "정치권이 말로는 민생 법안 처리에 힘쓰겠다고 하면서 비쟁점 법안인 복직 특별법 처리는 미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