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멸 직전 정당을 살려줬으면 나한테는 시비걸지 마라. 대구를 가든 창녕을 가든 내가 알아서 지역구 결정하겠다."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27일 영남대학교를 찾아 내년 총선과 관련해 "마지막 국회의원 출마이니 만큼 내가 출마할 지역은 내가 선택하겠다"며 "전략 공천해달라는 것 아니다. 공천 신청하고 당이 정한 방식대로 경선하라면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구는 태어난 곳(경남 창녕)에 갈지 자라난 곳(대구)에 갈 지 (나중에) 돼봐야 알겠다"며 "여의도로 복귀를 해야 정권교체에 역할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며 총선 출마 의지를 밝혔다.
이어 그는 총선 필승 전략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제일 걱정되는 게 여당의 '탄핵 잔당 청산론'이다. 이 말을 들었을 때 나는 섬뜩했다"며 "지금 한국당의 주류가 친박 (잔당)이다. 우리가 그 공격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겠나"고 답했다.
그는 이어 "지방선거 때 당 대표를 했는데 후보자가 없더라.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말고는 없더라"며 "야당이 선거가 잘 될 것 같아야 사람이 모이는데 안 될 것 같으면 인물을 영입할 수 없다. 내년 총선에서 인물로는 절대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도 덧붙였다.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 설치법 맞교환 주장에 대해서는 "선거제 개정하면 보수 통합 불가능하게 된다. 또 다당제가 되면 야당은 제구실을 못 한다. 제1야당 빼고 나머지 끌어모아 나라 운영할 수 있는 구도로 가는 게 연동형 비례대표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선거법은 한번 제정하면 못 바꾸고 헌법보다 상위에 있다. 공수처는 우리가 집권하면 폐지하면 된다. 선거법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폐지가 쉽다. 둘 다 억지 부리다 둘 다 넘겨주면 우리 당은 풍비박산 날 것"이라고 했다.
경제 위기와 관련해서는 "귀족 노조 놀이터인 이 나라에 (기업이) 투자를 왜 하겠나. 나라 경제를 살리려면 귀족 노조를 척결해야 하지만 이 정권의 존립 기반이기에 척결할 수 없다"며 "결국은 대한민국 국민이 선택한 문재인 정권을 2년 반동안 나라가 더 망할 때까지 참고 있어야 한다. 선택의 결과에 대한 책임은 유권자들이 지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김세연 의원의 당을 향한 지적과 관련해 "김세연 의원의 발언 중 상당 부분이 맞는 말이다. 그 말처럼 되어야 하고 저도 그걸 바라고 있지만 제 예측으로는 유감스럽게도 그렇게 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치판이 법조계 사람이 많고 고령화 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회는 입법부이기 때문이다. 미국 하원 70%가 변호사 출신이다. 문제는 고령화가 아니라 판사나 검사 등 고위직을 하다가 국회를 들어와 여생을 놀고 지내는 사람이 많아서 문제다. 이런 사람이 척결돼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고령화 문제는 우리나라 풍토가 개선되지 않는 이상 바뀌지 않는다"며 "영국은 정당 가입을 16세부터 하고 40대가 되면 우리나라 70대보다 정치 능력이 쌓여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젊은 사람이 역량이 안 된다. 50~60대에 정치판에 들어오는게 한국의 보편적인 추세"라며 "이런 문화가 달라져야 젊은 세대의 진입장벽이 없어진다. 젊은 세대가 지방자치 경험을 살리고 국회로 진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코스다. 나이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역량이 되느냐를 따져야 한다"고 답했다.
정치인으로서의 삶에 대해서는 "검사는 선악만 따지면 되는데 정치판은 선악이 공존하는 집단이다. 나쁜 X이라도 배척을 못하는게 정치판이다"며 "선거 때도 사기꾼인데 싶은 사람은 가까이는 못하지만 야단도 못치고 놔둬야 한다. 검사로서 생활하는 것보다 정치판에 생활하는게 어렵다"고 답했다.
한편 내년 총선을 앞두고 홍 전 대표의 TK(대구경북)행이 잦아지고 있다. TK를 기반으로 총선은 물론 대권까지 바라보는 행보로 풀이된다.
홍 전 대표는 지난 12일 대구 서문시장을 방문한지 2주만에 지역대학에서 강연을 위해 다시 TK를 찾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