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둘러싼 사건이 문재인 정권을 궁지로 몰고 있다. 그의 비리를 적발해 감찰했던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 관계자들이 "윗선 지시로 감찰이 중단됐다"고 검찰에 진술했기 때문이다. 검찰은 조국 전 민정수석을 소환해 감찰 중단 압력을 행사한 '윗선'을 조사할 방침이다.
청와대 감찰에서 유 전 부시장은 금품 수수를 시인하는 등 범죄 혐의가 명백했다. 그런데도 누군가가 감찰을 중단시켜 비리를 은폐했고 유 전 부시장은 국회 수석전문위원·부산시 경제부시장 등 영전했다. 그를 감찰한 특감반원들은 감찰 중단 이후 검찰로 원대복귀 조치됐다. 유 전 부시장과 조 전 민정수석은 잘 모르는 사이여서 조 전 수석이 자기 판단으로 감찰 중단 지시를 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노무현 전 대통령 수행비서를 지낸 유 전 부시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여권 실세들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있다. 민정수석을 움직일 수 있는 인사가 유 전 부시장 '뒷배'가 돼 압력 혹은 청탁한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청와대 감찰 중단은 '조국 수사'에 이어 문 정권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에 집착하는 이유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정권이 추진하는 공수처는 검찰 수사 사건도 이첩받을 수 있다. 정권 입맛대로 움직이는 공수처라면 유 전 부시장 사건을 검찰로부터 넘겨받아 뭉갤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공수처는 대통령과 여당 입김에 좌우될 수밖에 없다. 검찰 수사로부터 살아있는 권력을 비호하는 방패막이로 공수처가 전락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 대통령을 비롯해 정권이 총출동해 권력 비리를 파헤친다는 명분으로 공수처 설치를 밀어붙이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 감찰 중단에서 보듯이 사실상 검찰 수사권을 박탈할 수 있는 독소조항을 가진 공수처가 자기편은 물론 정권의 비리를 덮는 기관으로 악용될 소지가 크다. 검찰 개혁이라고 국민을 현혹하며 공수처 설치를 강행하는 정권의 속셈을 청와대 감찰 중단으로 많은 국민이 잘 알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