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국민 우려 큰 진보·보수 갈등, 文대통령과 정치권이 책임져야

우리 사회의 갈등(葛藤)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첨예화한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을 걱정하는 국민이 90%를 웃돌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8월 27일부터 9월 27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5천1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2019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1.4%포인트) 결과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91.8%나 됐다. 이는 2016년 조사 때보다 14.5%포인트가 상승한 것이다. 이어 정규직-비정규직(85.3%), 대기업-중소기업(81.1%), 부유층-서민층(78.9%), 기업가-근로자(77.6%) 등의 순서로 갈등이 크다고 답했다.

국민 열 명 중 아홉 명이 진보와 보수 간 갈등에 우려를 표한 것은 간과할 문제가 아니다. 갈등이 치유 불능 수준으로 치달아 국론 분열은 물론 국민 통합을 무너뜨리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 것이 '조국 사태'와 진보와 보수가 둘로 갈라져 거리에서 세(勢) 대결을 한 것이다. 지금도 청와대를 향한 검찰 수사, 검찰 개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대통령 퇴진 등 여러 사안을 두고 진보와 보수가 광장에서 맞서고 있다. 총칼만 들지 않았지 내전(內戰)을 방불케 하는 진보와 보수 사이의 갈등·투쟁에 국민의 우려는 클 수밖에 없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된 데엔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책임이 크다. 조국 사태에서 보듯이 정권 출범 후 문 대통령은 지지 진영에 경도된 인사와 정책으로 일관했고 민주당은 상식을 내팽개치면서 비호와 책임 떠넘기기에 열을 올렸다. 문 대통령이 내세운 '국민 모두의 대통령' 공약은 휴지통에 버려졌다. 대안 제시와 협상은 않고 삭발과 단식 등 장외투쟁에 몰입한 자유한국당도 갈등 증폭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국민 통합을 위한 '불쏘시개'가 되기보다 갈등을 부추기는 '도화선'이 된 데 대한 문 대통령과 여야의 통렬한 자성과 쇄신이 절실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