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댐 왜가리 폐사 원인 중금속 아니다"

낙동강 상류 환경관리 협의회에서 연구결과 발표…왜가리·중대백로 간 경쟁으로 폐사 추정

안동댐 상류 왜가리 번식지의 모습. 매일신문 DB
안동댐 상류 왜가리 번식지의 모습. 매일신문 DB

경북 안동댐 상류 왜가리 번식지에서 해마다 왜가리 폐사체가 발생한 원인이 중금속 때문이 아니라 왜가리와 백로의 '둥지경쟁'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지난 9일 안동시 세계물포럼기념센터에서 제14차 낙동강 상류(영풍제련소~안동댐) 환경관리 협의회를 개최하고 최근 마무리된 두 연구결과를 설명했다.

앞서 지역 환경단체들은 2017년부터 안동댐 인근 왜가리 번식지에서 중금속 오염 때문에 개체 폐사가 잇따르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환경부는 개체 폐사의 객관적 원인을 규명하기로 하고 ▷안동댐 왜가리 서식지의 번식 및 폐사 실태 조사 ▷왜가리 폐사 원인 분석 등 두 가지 연구를 진행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안동댐 왜가리 번식지에서 왜가리 둥지 103개, 중대백로 둥지 230개 등 모두 333개의 둥지가 조사됐다. 올해 5~7월 3차에 걸쳐 종별 폐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왜가리 33마리, 중대백로 42마리 등 75마리가 폐사했다.

폐사 원인으로는 한정된 서식지 내에서 번식기 둥지 경쟁이 발생, 새끼 개체가 있는 둥지를 공격한 뒤 이를 빼앗아 번식을 시도하는 점이 꼽혔다. 폐사 개체 75마리 중 새끼가 55마리로 73.3%를 차지했다.

경북의 다른 번식지인 봉화 상운면(둥지 수 105개), 의성 점곡면(302개), 상주 화동면(264개)에서도 각각 43마리, 59마리, 58마리 등 수십 마리가 폐사체로 발견됐다. 집단 번식지에서의 개체 폐사가 안동댐 번식지만의 특이한 현상은 아니라는 얘기다.

안동댐 번식지 왜가리 6마리, 중대백로 2마리에 대한 부검 결과에서도 질병이나 중독에 의한 폐사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다. 농약(살충제)·중금속(카드뮴 등 9종) 수치도 왜가리 건강에 비정상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