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참모진, 3년새 부동산 평균 3억 올라"…靑 "소수 사례"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한 전·현직 참모들의 부동산 가격이 최근 3년간 평균 3억2천만원(약 40%)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료사진 청와대. 매일신문DB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한 전·현직 참모들의 부동산 가격이 최근 3년간 평균 3억2천만원(약 40%)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료사진 청와대. 매일신문DB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한 전·현직 참모들의 부동산 가격이 최근 3년간 평균 3억2천만원(약 40%) 증가했다는 시민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특히 상위 10명은 같은 기간 부동산 가격이 9억3천만원(약 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했거나 근무 중인 1급 공무원 이상 공직자(76명) 가운데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보유했다고 신고한 65명의 아파트·오피스텔 재산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2017년 1월 전·현직 참모 65명이 보유한 아파트·오피스텔 재산은 시세 기준 1인당 8억2천만원이었지만, 지난달 11억4천만원으로 약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10명의 경우 1인당 평균 27억1천만원 상당을 보유했는데, 2017년 1월과 비교해 1인당 약 9억3천만원(약 52%) 상승했다.

65명 중 가장 재산이 많은 사람은 주현 중소벤처비서관으로 재산 총액이 43억6천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년 전에 비해 13억8천만원(4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실련은 "문재인 정부 30개월 중 26개월 동안 집값이 상승했고, 청와대 참모들의 부동산 재산은 폭등했다"며 "소득주도 성장이 아닌 불로소득이 주도하는 성장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국토부가 집값·땅값 폭등을 외면한다면 고위공직자들의 불로소득만 늘려주려 한다는 국민적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며 "고위공직자들의 재산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재산 신고 시 공시가격과 시세를 동시에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소수(의 사례)를 일반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참모 중에는 재산이 늘어난 사람도 있고 줄어든 사람도 있고 그대로인 사람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