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재인 대통령, 23일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

반년 만에 만난 한중 정상, 사드 문제 등 뒤로 하고 상호 신뢰 확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정상회담을 했다.

한중 정상회담은 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열린 회담 이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올해 한중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많은 성과와 변화가 있었다. 잠시 서로 섭섭할 수는 있지만 양국의 관계는 결코 멀어질 수 없는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졌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두고 양국의 갈등이 커졌던 때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맹자'의 한 구절을 인용해 "천시(天時·하늘의 때)는 지리(地利·땅의 유리함)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人和·사람들의 화합)만 못하다고 했다"며 "한중은 공동 번영할 천시와 지리를 갖췄으니 인화만 더해지면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 역시 문 대통령이 양국 공동 번영의 동반자라는 점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양국은 지역의 평화, 안전, 번영을 촉진하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 체제를 수호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넓은 공감대가 있다"면서 "우리는 줄곧 긴밀하게 협력해온 친구이자 파트너"라고 밝혔다.

시 주석은 "우리는 중한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를 심화시키고 발전시켜 양국의 공통된 이익을 수호하고 넓혀야 한다"며 "나는 문 대통령님과 함께 양자 관계가 새롭고 높은 수준에 오르도록 견인 역할을 발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 정상의 상호 신뢰를 반영하듯 시 주석은 회담장 입구에서 대기하다가 중국 인민해방군 의장대 사열을 마친 문 대통령을 맞이했고, 양 정상은 밝은 표정으로 기념촬영을 했다. 회담도 예정 시간을 25분이나 넘겨 55분간 진행됐다. 회담 후 양 정상은 1시간 가량 오찬하며 한중 간 현안과 관련한 논의를 이어갔다.

한편 시 주석과의 회담을 마친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쓰촨(四川)성 청두(成都)로 이동했으며 같은날 오후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24일에는 한중일 정상회의 및 비즈니스 서밋 일정을 소화하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도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