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김천시 6급 공무원 중 일부 직렬의 경우 승진 후 무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최장 4년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근속승진 확대로 6급 정원보다 승진자가 더 많아져 생긴 현상으로 분석되지만 이를 감안해도 승진 후 2년이 채 안돼 보직을 받는 다른 직렬에 비해 배 이상 무보직 기간이 더 걸리면서 근로 의욕 상실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인사적체가 심한 대표적인 직렬은 간호, 의료기술, 보건 직렬 등이다. 최대 4년 간 무보직으로 근무해야 하지만 현 시스템에선 해결할 방법이 없다.
김천시는 대부분 무보직 6급에 대한 보직 부여를 직렬별 승진 순서대로 시행하고 있다.
열심히 일해도 보직 부여 순서가 승진 순으로 진행되다 보니 무보직 6급 승진자들은 승진 후 보직 부여를 받기 전까지는 업무 강도가 센 시청보다 읍면동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때문에 시청에 근무할 베테랑 직원 부족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김천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상반기 인사부터 6급 승진 후 6개월이 지나면 읍면동으로 전보하던 관행을 깼다. 승진 후 본청 내 전보와 격무부서 담당을 신청한 이들에게는 보직 부여에 가점을 줘 상대적으로 근무강도가 약한 읍면동에서 근무한 직원보다 먼저 보직을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불구, 문제는 좀처럼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천시 관계자는 "승진 순서를 완전히 무시한 채 보직을 부여할 수 없다. 현재로선 뾰족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