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중기의 필름통] 상영 중 '히트맨' '남산의…' 손익분기점 앞두고 살얼음판

관객들 영화관 대신 '안방 1열' 흥행 비상에 줄줄이 개봉 연기

영화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스틸컷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영화관에 직격탄을 날렸다. 지난 주말과 휴일 영화관을 찾은 총 관객수는 82만 명. 평소 주말의 경우 하루에도 100만 명이 넘은데, 이틀을 합쳐 82만 명은 엄청난 폭락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극장을 초토화 시킨 것이다. 그 전주인 1월 25일과 26일 총 관객수는 272만 명이었다. 3분의 1 토막이 났다.

'남산의 부장들'은 누적 관객 수 430만 명(2월 4일 현재)을 돌파했지만 이 같은 추세라면 손익분기점(500만 명) 돌파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한 '히트맨'도 손익분기점(240만 명)까지 20만 명가량을 남겨두고 있지만, 살얼음판을 걷는 형국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전 두 영화의 손익분기점 돌파는 무난해 보였다. 특히 '남산의 부장들'은 중장년층을 극장가로 끌고 오면서 '대박'의 조짐도 보였다. 그러나 1월 말 12번째 확진자가 영화관을 다녀간 것으로 확인되며 극장은 바이러스 공포의 대상이 됐고 관객의 발걸음은 뚝 떨어졌다.

급기야 2월 개봉작들이 줄줄이 개봉을 연기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전도연 정우성 등이 주연을 맡은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지난 4일 개봉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12일 개봉 예정이었지만 배급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개봉 연기를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영화
영화 '더 프린세스 도둑맞은 공주' 스틸컷

애니메이션 '더 프린세스: 도둑맞은 공주'도 지난 5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잠정 연기했다. '더 프린세스: 도둑맞은 공주' 측은 "어린이 관객이 주로 찾는 애니메이션 장르로 관객들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개봉을 연기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영화
영화 '레미제라블 뮤지컬 콘서트' 스틸컷

영화 '레미제라블: 뮤지컬 콘서트'도 개봉일을 변경했다. '레미제라블: 뮤지컬 콘서트' 측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에 대한 우려로 '레미제라블: 뮤지컬 콘서트'의 개봉일을 3월 26일로 변경하고, 2월 7일로 예정되어 있었던 언론배급 시사회를 취소한다"고 알렸다. 12일 개봉 예정인 라미란 주연의 '정직한 후보'도 개봉 연기를 심각하게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뿐만 아니라 오는 25일 열릴 예정이던 대종상 영화제도 연기됐다. 대종상 영화제 조직위(위원장 김구회) 측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공연장을 찾는 관객 여러분들과 아티스트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에 영화제를 연기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종상 영화제는 매년 하반기에 열렸다. 그러나 영화제 이후 개봉한 영화들이 다음 해 심사 대상으로 넘어가는 기형적 구조를 바로잡겠다는 취지로 올해부터 2월에 개최하기로 변경했다. 그러나 그 첫 해부터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로 잠정 연기되는 불운을 겪게 됐다.

영화
영화 '정직한 후보' 스틸컷

이에 따라 지난 1월 전국 영화관 관객수가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상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KOBIS)에 의하면 올해 1월 전국 영화관 관객 수는 1천684만 994명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약 1천436억5천700만원. 이는 1월 기준 2012년(약 1천663만명) 이후 8년 만에 최저 관객 수이자 2016년(약 1천326억원) 이후 4년 만에 매출 최저치다.

문제는 끝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015년 5월 메르스 사태가 터진 직후 6월 관객수는 전월 대비 19.8% 급감한 1천420만 명선이었다. 이번에는 메르스 사태에는 없었던 '임시휴업' 변수까지 터지면서 올해 상반기 극장가 실적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지난 2일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상위 10개 영화 평균 좌석판매율은 10.4%를 기록했다. 영화에 배정된 좌석 수 100석 중 10석 정도만 팔렸다는 의미이니, 이번 바이러스 사태가 미치는 여파가 어떠한지 실감케 한다.

실제로 극장가에서는 '공동화 현상'이 현실화하고 있다. 앞으로 개봉될 대작영화도 없고, 있더라도 개봉을 기피할 가능성이 커졌다. 관객도 없고, 영화도 없는 그런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극장가 관객이 감소한 대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이 늘어났다. 왓챠플레이에 따르면 지난 1일과 2일 역대 주말 시청분수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 주말에 비해 14.6% 증가한 수치. 넷플릭스 등 다른 OTT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예상된다. 극장 나들이 대신 안방극장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김중기 문화공간 필름통 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