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당 못 쓰게 된 안철수 다시 '국민의당'으로

국민당(가칭) 안철수 창당준비위원장이 14일 오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앞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명 사용 불허 결정과 관련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당(가칭) 안철수 창당준비위원장이 14일 오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앞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명 사용 불허 결정과 관련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추진하는 신당의 이름이 14일 '국민의당'으로 결정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잇달아 안 전 대표가 추진하는 신당명에 불허 결정을 내리면서 지난 총선에서 사용했던 '국민의당'을 다시 꺼내든 것이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창당준비위원회 중앙운영위원회의에서 과반수 찬성으로 '국민의당' 당명을 의결했다. 중앙선관위에서 불허될 가능성이 낮고 국민의당이란 이름이 인지도도 높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신당이 과거 명칭을 다시 쓴 것은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애초 안 전 대표 측은 창당 작업을 하며 '안철수 신당'이라는 당명을 쓰려 했지만 중앙선관위가 사전선거운동이 될 수 있다며 불허했다. 이에 '국민당'이란 명칭을 쓰려고 했지만, 역시 선관위는 "이미 등록된 정당 '국민새정당'과 명칭이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며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결국 당명 문제로 창당 작업이 속도를 잃지 않으면서 '안철수가 만든 신당' 임을 알리고자 기존에 유권자에게 익숙한 당명을 사용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 전 대표는 4년 전 20대 총선을 불과 2개월 앞둔 시점에서 국민의당을 창당해 제3정당 돌풍을 일으켰다. 이후 국민의당은 바른정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이 되면서 사라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