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농경사회 40대 가장의 역할은 '삶의 질' 보다는 살기 위해 최소한의 의·식·주 해결을 위한 생사의 몸부림이었다. 하지만 사회가 점점 발전하면서 자식이 자신보다 나은 삶을 살기를 바라는 바람이 커지면서 현대사회의 40대 가장은 가족부양에 대한 삶의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 사회로 변화하였다. 경제적 부가 사회적 지위로 평가받는 사회로 인식되면서 점점 교육열은 높아졌고 우리 40대 가장은 점점 자신의 삶을 상실해 가고 있다.
물질적 부의 축적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돈을 벌기 위해 사회에 내몰리는 가속화 현상으로 더 이상 가정이 40대 남성의 삶의 휴식처가 아닌 상황이 되었다. 또한 이로 인한 가정의 기능 상실이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가정은 인간이 인간다움의 실현을 위해 자신이 책임을 지는 가장 소중한 공동체일 것이다. 가정은 과거부터 '가족애'를 통해 살아가는 삶의 오래된 방식이며 우리에겐 가장 친숙한 인류를 대표하는 단어일 것이다. 그렇기에 가족 구성원들의 행복한 삶을 바라면서 가족을 부양하는 가장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애쓴다.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40대 남성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10, 20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50, 60대 베이비붐 세대의 제2의 인생 설계를 위한 사회적 이슈 가운데 가장 열심히 일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40대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사회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우리 40대 남성들의 길 잃은 눈물에 관심이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오늘날 40대 남성의 자화상은 가족 부양과 자식 교육을 위해 경제 활동을 위한 기계적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가! 하루하루 변화하지 않는 물질 경제 소굴에서 가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절규하며 살아가고 있지 않는가! 사회와 가정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는 우리 40대 남성은 점점 가정 내에서 갈등을 키우는 존재가 되고 있지 않는가! 가족 간의 불통으로 점점 소외당하고 있진 않는가!
우리나라 40대 남성은 삶의 무게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서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고 이로 인한 결과로 OECD 40대 사망률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가정의 버림으로 결국 40대 이혼율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자신을 헌신함으로써 스스로 문화 취약계층을 자처하며 삶의 여유를 점점 잃어가고 있지 않는가!
어느 작가는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라는 책을 통해 40대의 남성의 삶에 대한 무게를 얘기했다.
또한 2015년 현대경제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불행한 사람은 '자영업에 종사하는 40대 대졸 이혼 남자'라고 하였다.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그들의 몸부림에 정말 필요한 것은 따뜻한 '관심'과 '위로'의 응원이 아니겠는가.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