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삼의 세계사

설혜심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인삼의 세계사
인삼의 세계사

인삼은 최고의 건강식품이다. '고려인삼'으로 불리는 한국산의 품질이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다.

한류 붐을 타고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에서도 한국인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고려인삼이 유럽에 첫발을 내딛고 유럽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1617년이다. '최초의 한류 상품'이라 할 수도 있다.

인삼은 커피, 사탕수수, 면화 등과 함께 대항해시대를 거치며 17세기 거대한 교역 네트워크의 중심을 차지했던 세계상품이다. 그런데 서양 역사에서 인삼의 흔적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영주 풍기인삼
영주 풍기인삼

지은이는 각종 서양 문헌 속 인삼에 관한 기록을 찾아내어 세계사적 시각으로 인삼의 역사를 복원하고자 했다. 단순히 인삼의 역사를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양과 인삼의 불편한 관계를 예리한 시선으로 추적해 서구 문명이 인삼에 어떤 식으로 왜곡된 이미지를 덧씌웠는지 규명한다. 인삼을 둘러싼 범지구적 네트워크를 재구성함으로써 서구 중심의 세계체제론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오늘날 한국인삼의 위상을 다시금 살핀다. 동양의 신비한 약초에서 미합중국 최초의 수출품이 되기까지 인삼의 여정이 펼쳐진다.

풍기인삼축제장에서 인삼 판매상들이 풍기인삼을 자랑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풍기인삼축제장에서 인삼 판매상들이 풍기인삼을 자랑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 서양이 반한 인삼
고려인삼이 서양과 만난 첫 기록은 1617년 일본 주재 영국 동인도회사의 상관원이 런던의 본사에 인삼과 함께 보낸 통신문이다. 상관원은 "한국에서 온 좋은 뿌리를 보낸다"며 "가장 귀한 약으로 간주되며 죽은 사람도 살려내기에 충분합니다"라고 인삼을 설명했다. 한국에서 일본, 남아프리카(희망봉)를 거쳐 런던에 도착한 인삼의 여정은 인삼이 '대항해시대'의 결과물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동아시아에 파견된 예수회 신부들이 인삼을 직접 경험하고 쓴 보고서와 인삼 연구에 매진한 유럽 지식인들의 논문들, 철학자 존 로크의 기록과 라이프니츠가 인삼의 효능에 대해 질문한 편지들, 실제 인삼을 치료에 사용한 의사들의 임상 사례 등 흥미로운 기록들을 통해 17세기 초부터 18세기까지 인삼이 서양지식체계에 편입되는 과정을 살핀다.

또 인삼이 세계상품으로서 동아시아라는 중심부와 유럽-북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주변부의 이중구조 속에서 유통되었음을 밝힌다. 북아메리카에서의 인삼(화기삼) 발견은 인삼의 역사와 교역 네트워크의 큰 전환점이었다.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 미국은 인삼을 주력 수출품으로 삼고 중국과 첫 무역을 시작했고, 동아시아와의 인삼 교역 주도권이 영국에서 미국으로 넘어가게 된다. 미국에서 인삼의 역사는 미국의 경제적 독립 과정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인삼이 미국의 첫 수출품이자 수출 효자 상품이었으며, 오늘날에도 미국에서 인삼을 채취·재배해 수출한다는 것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인삼 교역의 역사를 통해 한국인삼에 관한 서양의 인식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사료에만 의존했던 탓에 한국인삼을 2등급으로 치부하다가 최고의 인삼으로 칭송하기도 하는 등 시대에 따라 인식의 변화가 나타난다. 조선의 대중국·대일본 인삼 교역의 역사는 물론, 19세기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다툼 속에서 드러나는 한국인삼에 대한 서양의 관심과 욕망, 일본에 대항한 개성 삼업인들의 저항운동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 인삼에 투영된 오리엔탈리즘
18세기 중반으로 넘어가면서 서구 의학계에서는 인삼의 의학적 가치를 폄하하고 약전(藥典)에서 퇴출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었다. 당시 인삼은 커피의 카페인이나 아편의 모르핀처럼 유효성분을 추출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식물이었다. 인삼은 서양의 근대 약학 시스템에 매우 더디게 편입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서양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지 못하고 동양의 의학적 전통에 기대어야 했던 인삼은 오히려 그런 특성 때문에 서구가 주도한 화학약품 시대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근대 유럽과 미국은 의학의 영역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인삼을 경원시했다. 이 책은 서양이 인삼의 생산과 수출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음에도, 인삼을 '동양의 전유물'로 타자화하게 된 배경으로 경제적 이해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인삼 가공 기술에 대한 열등감과 문화적 구별짓기에 있음을 지적한다. 서양이 인삼에 동양성, 전제성, 사치, 방탕, 비합리성과 불가해성 등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며 주류 문화에서 인삼을 소외해간 과정을 추적하며, 한국에는 생소한 미국 심마니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삼에 투영된 오리엔탈리즘과 서구중심주의의 민낯을 파헤친다.

세계적으로 인삼 연구는 195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인삼 연구의 90% 이상이 인삼의 성분과 효능을 밝히는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 인문사회학적 연구의 비중은 매우 적다. 연구 대부분이 동아시아 출신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연구 대상도 동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인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오늘날 인삼 제품을 많이 소비하게 된 다른 지역에서 인삼의 위상이나 인삼에 대한 인식을 알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인삼의 세계사적 의미를 살핌으로써 인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역사학적 시선으로 모색한다.

지은이는 "지구사적 관점으로 인삼의 역사를 되살려냄과 동시에 오늘날의 비대칭적 인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라고 말한다. 464쪽, 2만5천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